鄭純基 義士 略歷(정순기 의사 약력) 정순기는 자(字)는 사홍(士弘)이요 이요 호(號)는 검와(檢窩)이며 동엄선생의 종질(從姪)이라. 성품이 관후(寬厚)하고 또 과감(果敢)하였다. 평생에 생산작업에 뜻을 두지 아니하였다. 약관(弱冠) 때에 서울에 놀면서 벼슬을 구하려고 하다가 재종형 용기의 훈계를 받고 그만두었다. 본래 흥해(興海)에 거주하다가 시국이 점점 혼란하게 되는 것을 보고 시대를 광구(匡救)1)할 생각을 품고 영천(永川) 검단(檢丹)에 이주하여 재종(再從)형 용기, 이한구와 더불어  뒷날을 기다렸다. 광무(光武)2)  9년 을사(乙巳:1905)에 우리나라가 왜적들에게 소위 5조약(條約)이라는 모욕(侮辱)을 당하고 전국인심이 분격되어 모두 복수책을 강구하더니 이때에 단오공(丹吾公) 정용기(鄭鏞基) 그의 부공(父公)을 대행하여 임금의 밀조(密詔)를 받들고 영남에 내려와서 의병(義兵)을 모집하는지라 공(公)은 그 일에 전심전력으로 협조하여 인원모집과 물자수집에 큰 공을 세웠다. 병오(丙午:1906)년에 부서를 조직할 때에 소모장(召募將)이란 임명을 받고 진두(陣頭)에서 활약하다가 대장 용기 경주병정진(慶州兵丁鎭)에 속아서 대구로 압송(押送)될 때 공은 간도(間道)로 뒤를 따라서 관변(官邊)에 교섭을 취하여 옥중(獄中)에 연락하고 또 옥중 영향(影向)을 진중(陣中)에 통기하여 진중 동정(動靜)을 조종하였다. 정미(丁未 1907)년에 의병을 다시 모집할 때에 또 전년과 같이 노력하여 동지를 소환하고 물자를 증집하였다. 행진하는 날에 있어 또 소모장이란 임명을 받고 진두에 활약하여 위험을 피하지 아니하였다. 또 영해(寧海) 의병장 신태호와 교의(交誼)가 좋아 양 진영의 연락을 담당하였다. 정미 8월 하순에 자양(紫陽)에 침입한 침입한 왜적을 격파시키고 대진(大陣)이 서울로 총진군하기로 기한을 정할 때에 공은 각지 유격대들의 운동할 것을 주지(周知)시키고 군수물품을 수집하자면 시간의 여유가 있어야 될 것이라고 제의하여 각 부대를 각 지방으로 출장시키기로 결정되었다. 그렇게 하여 각 부대를 갓 지방으로 파견시키고 공은 연해(沿海) 등지로 출동하였더니 그 사이에 입암패전(立巖敗戰)이 있어 본부장단(本部將壇)이 무너졌다. 공은 입암 소문을 듣고 본부에 돌아와서 대장장례를 호소례(縞素禮)로 거행하고 종숙(從叔) 동엄선생(東广先生)을 받들어서 진사총통(陣事總統)으로 뫼시고 부서를 다시 조직할 때 공은 소모장으로 있었다. 동엄선생을 뫼시고 신병(新兵)을 증모(增募)하여 군기(軍機)를 정비하고 작전계획을 다시 확장시켜서 청하(淸河) 흥해(興海) 신녕(新寧) 의흥(義興) 의성(義城) 군위(軍威) 모든 고을을 연전(連戰) 연파(連破)시키고 청송읍을 습격코자 하다가 임우(霖雨) 관계로 중도에 패전을 당하고 보현산지역에 돌아와서 적을 오지(奧地)로 몰아넣기로 임시계획을 세웠다.                   (계속) 그때에 백남신(白南信)과 공(公)은 각기 일지군(一枝軍) 일백 명씩을 인솔하고 백공은 영양(英陽) 등지로, 공은 봉화(奉化) 등지로 적을 유인시키고 본부는 연해지방으로 진출하였다. 공은 봉화에서 돌아오는 길에 의성읍을 습격하고 보현산에 유진(留陣)하고 있었다.  본부는 흥해읍을 습격하고 청하를 경유하여 영덕읍을 습격하고 약탄이 핍절되고 왜적들은 우리를 사면차단하고 오는지라, 이 난황(難況)을 타개코자 하여 전군을 각 지방으로 파견시켜서 물자를 모집하여 강원도에 집합하기로 하고 동엄선생은 진지(陣地)를 물색코자 하여 먼저 강원도로 가다가 적에게 피금(被擒)되어 적의 만단 권유를 듣지 않고 다시 영천에 돌아와서 순절(殉節)하다. 왜적들이 선생을 뫼시고 열읍(列邑)으로 순행할 때에 공은 선생을 탈환코자하여 여러 장사들을 데리고 추후(追後)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때로부터 최대장이 취임할 때까지 공이 대장의 역할을 대리하여 모든 일을 지휘하였다. 그 실적을 대강 기록하면 이세기(李世紀) 등 모든 부하를 지휘하여 장기읍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청하읍을 공격한 일도 있으며, 흥해 서방 천곡사(泉谷寺) 등지에서 왜적과 교전한 일이 있었다. 이렇게 하다가 최세윤(崔世允)공을 맞이하여 본부대장으로 추대하고 이때에 모든 부장(部將)들이 각 지역을 분담하여 유격전을 시작할 때에 공은 구한서(具漢書) 공과 더불어 북동대(北東大) 지역을 분담하여 활약한 실적을 왜적 기록에 증빙하면 다음과 같다.  ‘무신(戊申:1908) 2월 중순에 청하 등지에 출전하였고, 4월 초순에 영양 등지에 출전하였고, 7월 중순에 영해 등지에 출전하였고,  동월(同月) 하순에 일월산 등지에 출전하였고, 8월 중순에 진보 등지에 출전하였고, 기유(己酉:1909) 8월 상순에 영양 등지에 출전하였고, 12월 하순에 영해 등지에 출전하였고, 경술(庚戌:1910)년에도 청하, 영양, 영해 각지에서 출전’ 한 기록이 있다. 혈심사력을 다하여 저항하다가 천운(天運)이 기울어지매 어찌할 수 없어 피금(被擒)되어 종신형을 받았다가 (경술국치 특사로) 석방되다.  그 후 약 20년 동안 지하운동을 하면서 산남의진 사적을 추모하고자하여 정래의(鄭來儀)공 조성목(趙性穆)공 동지들과 더불어 참동계(參同契)를 창설하였다가 왜적들에게 발각되어 다른 동지들은 모두 체포되고 공은 피신하여 운동을 계속하다가 을유(乙酉:1945) 8.15광복 청천(靑天)을 보고 별세하다.<山南義陣遺史343p~345p> 1990년 애국장 추서. 생몰연대: 1867~1946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0:41:0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