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농촌 들녘에서는 풍성한 수확을 꿈꾸며 불볕 더위를 이기며 일손이 부족할 정도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그런 한편에 이상기후로 인한 농가 피해가 언제 닥칠지 몰라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난해는 봄철 냉해로, 7~8월에는 집중 호우와 폭염으로, 10월에는 폭우에 우박마저 내려 지역의 경우는 사과를 비롯해 여러 작물에 엄청난 피해를 봤다. 농작물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기후변화에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작물이 자라는 적합한 지역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둘째는 생태계 측면에서 국내에 유입된 외래 생물 또는 병해충들이 기후가 온난화함에 따라 그 영역을 넓히고 있어 피해가 발생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된 ‘등검은말벌’이 꿀벌을 공격해 양봉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셋째는 기후 온난화 현상으로 발생하는 폭우, 고온, 가뭄 그리고 냉해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 피해이다. 기후변화는 생산량 감소를 넘어 농산물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비싸진 사과값’이 그렇고 올해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지방의 벌마늘 사태가 대표적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농가의 피해는 인간의 탐욕이 저질러 놓은 자업자득이다 하지만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은 있어야 한다.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면 규모가 적을 때는 모든 것이 농민의 책임이다. 그러나 피해 규모가 상당할 때는 정부가 농업재해로 인정하고 조사를 거쳐 어느 정도 보상을 하지만 지속가능한 안정 영농을 보장하기에는 한참 부족하다. 현실의 이런 제도 아래서 농가는 늘 피해를 빚으로 메울 수 밖에 없고, 다음해 농사를 준비하기에는 치솟는 생산비와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한다. 여기에 대비해 피해를 보험을 통해 보상하는 농작물재해보험을 확대하는 일이 필요하다. 농작물재해보험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함으로써 농가 소득과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안정적인 농업 재생산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다. 그중 돋보이는 것이 농업수입 보장보험이다. 이 보험은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농산물 수확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하락하게 될 때, 농가의 한 해 수입이 과거 5년 치 평균 아래로 떨어지면 그 차액의 최대 80%까지 보장해 주는 제도이다. 지난 2015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2025년부터 전국 단위 사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나라 먹거리를 책임지는 농업인들의 안정적인 생산 기반도 필요한 시점이다. 안정적인 영농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토대를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사에 있어 기후위기를 고려한 생산방식과 농업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또 농업기술과 유통의 변화, 나아가 농업정책이 농업의 가치와 방향을 적절하게 개편하고 변화시켜야 한다. 농민들 스스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작년과 같은 농가 피해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도 우리의 정책과 대응이 적절한지 깊이 고민해야 한다. 환경이 바뀌면 각 농가를 대상으로 품목별로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 하는지 차근차근 찾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