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줄 듯 지방에선 병원도 사라지고 있다. 젊은 청년들이 서울과 수도권으로 가듯 의료진들도 지방병원을 외면하고 있다. 정부가 지역 의료를 강화하겠다고 대책은 내놓고 있지만 오뉴월 장마에 흙담 무너지듯 모든 것이 역부족이다. 지역 의료중에서도 가장 먼저 문제를 드러내는데는 응급실이다. 응급환자는 실제로 골든타임이 생명을 살리는 절대 시간이다. 그런데 30분 안에 응급실에 가지 못하는 지역이 전국에 부지기수다. 그나마 우리 지역은 축복받은 땅이다. 사고도 질병도, 지역을 가리면서 찾아오지는 않을진데 이대로 가다가는 지방에서는 의료 붕괴로 피할 수 있는 죽음도 계속 늘어날 수 있겠다. 1999년 영천에서 개원한 영대영천병원은 영남학원 재단의 영남대의료원 산하 의료기관으로 사립이다. 영천의 인구가 급격히 줄면서 지역 유일의 응급의료기관으로 현재는 사실상 지역의 공공의료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이 병원이 코로나 이후 경영악화를 호소하고 있다. 문제는 지역 의료 수요의 감소와 비싼 의료진 구하기의 어려움이다. 실제로 의료진은 지방 병원을 기피하고 있다. 병원은 적자가 쌓여 이제 더 나은 조건의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폐원을 검토중이라고 한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적자 규모만 69억원으로 연간 평균 23억원 정도다. 특히 365일 연중 운영하고 있는 응급실의 적자 규모는 해마다 10억원 이상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병원은 매년 평균 23억원의 적자 가운데 최소한 응급실 의료진 인건비가 연간 38억원인데 영천시가 연간 20억원(52%)을 지원해 줄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영천시가 조례를 만들어 공공인 지방의료원처럼 지원하는 체계 구축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영천시는 정부가 지원하는 응급의료기금 1억4천만원과 응급환자의 우선 보호를 위한 시비를 지난해 3억에서 올해 추경을 통해 확보한 2억원을 합한 5억원을 더해 총 6억4천만원을 영대영천병원에 지원하고 있다.사실상 병원측도 떠난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지만 그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병원측이 주장하는 매각가치는 300억원 정도라지만 이 규모의 병원을 새로 지을려면 1천억원 이상이 든다. 거꾸로 영천시로서도 병원이 한번 문을 닫으면 다시 열거나 유치하는 것이 이 상황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서로의 이해를 위해서는 한발씩 양보하는 미덕이 절실하다.모두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알지만 지역에 의료 공백이나 붕괴가 있어서는 안된다. 영대병원이 사립이라고는 하나 현재 상황으로서는 공공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의사 구하기가 힘들다지만 어떻게든 공공의 역할은 메워야 한다. 영천시와 영천시의회, 그리고 영대병원 세 기관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 현명하고 긍정적인 해결책을 내놓길 기대한다. 만일 그것이 어긋나 불행한 사태를 맞는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의 몫이다.의료 기반이 무너지면 지역 소멸은 더 가속화 될 것이다. 우리는 결단코 지역의 응급실 문이 닫히는 모습을 보고싶지 않다. 의료 서비스는 쭉 이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