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산(土産) - 진공(進貢)224)을 붙임(원문) 土産 附進貢• 영천 : 은구어(銀口魚)225)· 궐어( 魚)226)· 황어(黃魚)227)· 봉밀(蜂蜜)228)· 송심(松蕈)229)· 완초(莞草)230)· 산수유, 맥문동, 인삼, 산약(山藥), 복령, 복신, 작약, 지황, 백출, 금은화(金銀花)231)· 시호, 당귀, 천궁, 자초(紫草)232)· 감국, 사삼, 백자(柏子)233)· 대마, 진자(榛子)· 칠(漆)235)· 정철(正鐵)236)· 사금, 은자(銀子), 유황• 신녕 : 벌꿀 인삼 입초 옻지황 맥문동 창출237) 백출시호 반묘(원문)銀口魚 魚 黃魚 蜂蜜 松莞草 山茱萸 麥門冬 人蔘 山藥茯 茯神 芍藥 地黃 白朮 金銀花 柴胡 當歸 川芎 紫草 甘菊 沙蔘 柏子 大麻 榛子 漆 正鐵 砂金銀子 硫黃(新寧) 蜂蜜 人蔘 笠草 漆 地黃 麥門冬 白朮 柴胡 斑猫23)8)• 진공품(進貢品)〈영천〉:인삼, 건지황, 천문동, 맥문동,낭독(狼毒)239)· 황저(黃)240)· 산약, 백출, 적복령, 백복령, 백복신, 적작약, 백작약, 자초이, 감국, 시호, 천궁, 괴실(槐實)241)· 과루인(瓜蔞仁)242)· 연교(連翹)243)· 반묘, 포황(蒲黃)244)· 금 은 화 , 박 자 , 유 지 ( 油紙)245)· 건치(乾雉)246)· 생치(生雉)247)• 진공품(進貢品)〈신녕〉:적복령, 백출, 천궁, 황저, 시호,백작약, 맥문동, 감국, 괴실, 포황, 산약(山藥)248)· 적전(赤箭)249)· 과루인, 낭독, 반묘, 욱리인(郁李仁)250)· 백복신, 생치(生雉)(원문)(進貢) 人蔘 乾地黃 天門冬 麥門冬 狼毒 黃 山藥白朮 赤茯 白茯 白茯神赤芍藥 白芍藥 紫草葺 甘菊柴胡 川芎 槐實 瓜蔞仁 連翹斑猫 蒲黃 金銀花 柏子 油紙乾雉 生雉(新寧) 赤茯 白朮 川芎黃 柴胡 白芍藥 麥門冬 甘菊 槐實 蒲黃 山藥 赤箭 瓜蔞仁 狼毒 斑猫 郁李仁 白茯神 生雉각주 224) 물건 따위를 상급관청이나 궁중 또는 임금에게 갖다 바치는 일로서 진상(進上)이라고도 함 225) 회유성 민물고기인 은어(銀魚)의 다른 이름 226) 민물고기이며 쏘가리 227) 잉어과의 민물고기 228) 꿀 229) 송이. 소나무 버섯 230) 왕골 231) 인동초의 덩굴 232) 한약재인 지치 233) 잣. 잣나무의 씨앗 234) 개암나무의 씨앗 235) 옻 236) 무쇠를 불에 달구어 단단하게 만든 쇳덩어리 237)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 et. KITAGAWA)와 남창출(A. lancea DC.), 북창출(A. chinensis KOIDZ.)의 뿌리줄기로 만든 약재. 238) 가룃과 곤충의 애벌레를 건조한 생약.한방에서 목에 생기는 림프종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239) 한라투구꽃의 뿌리를 말린 한약재. 낭독이란 이름은 독이 많은 식물이라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240) 젖을 잘 나오게 한다고 한다. 241) 회화나무열매. 한약재 242) 하눌타리의 씨. 대·소변을 잘나오게 하고, 종기를 가라앉힘. 해수(咳嗽)·담(痰) 등 질병에 약용으로 쓰임. 243) 우리나라에서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Vahl)를 건조시킨 열매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동일한 기원식물을 사용해 약재로 쓰지만 중국에서는 의성개나리는 쓰지 않고 당개나리의 열매만을 건조시켜 사용한다. 244) 부들의 꽃가루 245) 기름을 먹인 종이. 기름종이 246) 말린 꿩고기 247) 익히거나 말리지 않은 꿩고기 248) 야생마의 덩이 뿌리 249) 천마 Gastrodia elata Blume(난과 Orchidaceae)의 지상부이다. 지상부로 줄기는 원기둥모양이고 지름 0.7~1.5cm이며 녹갈색~적갈색이다. 잎은 퇴화하여 막질로 되고 비늘 모양이며 길이 1~2cm이고 가는 잎맥이 보인다. 꽃차례는 수상화서이고 길이 10~30cm이다.열매는 삭과로 타원형~타원상 도란형이고 지름 약 1.5cm이며 그 안에는 가루모양의 씨가 들어있다. 냄새가 없고 맛은 담담하다. 250) 장미과의 이스라지(Prunus nakii Leveille) 또는 양이스라지나무(P.humillisBunge)의 씨를 말린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양이스라지나무(P. humillis Bunge)와 욱리(Prunus japonica Thunb. : 郁李), 장경편도(P. pedunculata Maxim. : 長梗扁桃)를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
|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