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이 민·군상생 복합타운 개념의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에 유치 신청을 한 것이 2022년 9월로 만 2년이 됐다. 먼저 신청한 칠곡군에 이어 두 번째였다.그런데 칠곡군이 지난 19일 군부대 유치 활동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이 대목은 함께 경쟁해온 우리로서도 몇 번 곱씹어 봐야할 의미심장함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칠곡의 이런 결정의 배경에는 군위군으로 군부대 이전을 시사해 온 홍준표 시장의 발언 때문이다. 앞서 지난 11일 홍 시장은 산격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군부대 이전은) 신공항처럼 떼쓰기로 사업이 표류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해 대구시가 행정적으로 통제할 방안도 종합적으로 검토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말은 지난해 대구시로 편입된 군위군으로 군부대를 이전시키겠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유치전을 벌이던 나머지 지자체는 들러리라는 상당한 판단을 할 수 밖에 없었다. 홍 시장은 지난해 10월에 대구경북신공항 화물터미널 배치 문제를 두고 의성군의 반발이 커지자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시가 통제 가능한 지역으로 이전을 검토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혀 유치전에 나선 지자체 주민들을 자극한 적이 있다. 홍 시장의 이런 발언이 우리도 언짢은게 맞다.급기야 유치전에 뛰어든 나머지 지자체는 지난 9일 대구 군부대 통합 이전의 공정하고 투명한 진행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대통령실과 국무총리실, 국방부에 전달했다. 건의서에는 국방부가 명확한 평가 절차와 기준을 공개하고 최종 이전지를 결정해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군위군은 건의서 제출에 참여하지 않았다. 우리가 느끼듯 군위군을 제외한 모든 지자체가 불공정한 진행을 염려하고 있다. 핵심은 국방부의 입장이다. 국방부는 당초 군부대 이전 논의 과정에서는 없었던 ‘공용화기 사격장’ 문제를 들고 나와 문제가 되기도 했다. 군부대보다 더 넓은 공용화기 사격장은 소음 등으로 민원 발생 우려도 큰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의회를 비롯해 우려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위기’라는 말에는 항상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고 있다. 영천은 2년전 유치 신청때의 초심을 기억해야 한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감소하던 인구는 10만선을 위협했고, 경제는 쪼그라드는 상황에 과거 혐오시설에 가깝던 군부대라도 유치해 인구 유입과 지역 장기 발전의 모멘텀으로 삼자는게 당초 목적이었다.그래서 유치전에 뛰어든 이후 이제까지 군부대 유치 전시민 서명운동에 갓바위 기원법회, 예배, 종교인이 포함된 유치 공동선언, 대시민 설문조사에서 98% 찬성을 확인했고 각종 행사때마다 유치 퍼포먼스를 진행하며 분위기를 이어오고 있다.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칠곡군이 철회했다고 좋아할 일도 의기소침할 일도 없다. 우리가 원하는 갈 길만 갈 뿐이다. 국방부는 처음부터 여러 가지 조건중 주민수용성을 크게 눈여겨 보고 있다. 우리만의 차별화된 전략과 준비로 최적의 도시임을 설명했고, 시민들의 염원과 단합된 힘도 결집돼 있다. 결정의 순간까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고삐를 다잡아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