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급격한 인구 감소 여파로 농촌 지역은 물론 영천시내 지역에서도 방치된 빈집이 급증하고 있어 골칫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도심의 빈집 문제는 주거 환경 악화와 도시 미관 저해, 사회적 문제 발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효과적인 처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영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영천시내 빈집은 총 734호에 달한다. 이 중 592호는 읍·면 지역의 빈집이 대부분이지만 도심지역에도 142호 가량 있다.시내는 중앙동 지역을 비롯해 완산동 구도심(공설시장 인근지역)과 서부동, 남부동 등 각 지역별로 빈집이 몇 군데씩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오래된 빌라 10여 가구중 1가구만 남고 나머지가 비어있는 곳도 있다. 문제는 사유재산인 빈집의 존재를 알면서도 지자체가 섣불리 손을 대지 못하는데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실제로 영천시보건소가 위치한 곳에서 동쪽으로 과거 구도심을 이루던 곳에는 이면 도로를 따라 도로변 마저 빈집인채로 상가지역은 낡은 유리안에서 무성하게 자란 목초가 밖으로 삐져 나오는 곳도 있다.골목으로 들어가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마치 시간이 멈춘 듯 오래된 집들이 나타나는데 유리창문이 깨져 휑한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여 을씨년스럽다. 또 집 일부가 내려앉고 담벼락이 무너져 시멘트 벽돌이 어질러진 집도 보였다. 집 밖에는 화장실이 그대로 방치돼 심한 악취를 풍기고 파리가 들끓었다. 인근 주민 A씨는 “주변이 다 이 모양이니 불안함이 도를 넘었고, 미관도 미관이지만 사고나 범죄 우려에다 밤에는 야생 고양이의 울음소리 때문에 스트레스가 극에 달해 있다”며 “제발 시에서 매입해 공영주차장을 만들던지 체육공원으로 조성해 환경 정비를 좀 해주면 좋겠다”고 하소연 했다.앞서 영천시는 앞서 2023년부터 ‘도시빈집 정비계획’(5개년)을 통해 빈집실태조사 및 빈집정비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3억원과 올해 4억원의 예산으로 빈집정비사업은 소유자가 빈집 철거시 동당 150만원을 지원하고, 토지소유자가 승낙시 영천시에서 직접 빈집을 철거히고 5년동안 공용주차장이나 쉼터 등 주민편의시설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영천시는 우선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빈집 철거후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공용주차장이나 주민편의시설 등 공공활용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다만, 시가 추진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주택이나 상가 소유주가 빈집을 철거하는 비용을 들이는 것보다 빈집을 방치하고 주택세를 납부하는 쪽이 더 부담이 없거나 이득이라고 판단하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3면에 계속>최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