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오의 기술이 널리 사용되어, 지역의 농산물 저장 문제를 해결하고, 공공장소에서의 위생 관리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자외선 변조 기술을 활용해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물론, 특정 가스를 분해하는 첨단 공기 살균 기기 제조 및 판매 업체인 ‘에스오’를 운영하고 있는 이은진 대표는 “1차적으로는 병원, 공공기관, 학교와 같은 장소에 저희 제품이 설치되어 더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사회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고객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며,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를 담고 있다”고 강조한 이 대표는 “사과와 샤인머스캣 등 에스오의 농산물의 저장 기간을 늘리는 기술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에스오는 광촉매 기술과 더불어 에너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자외선 변조 기술을 활용하여,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물론, 특정 가스를 분해하는 첨단 공기 살균 기기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이 대표는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1% 미만으로 필터링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이 기술은 전염병 확산 방지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며, 현재 연구 중인 far-UVC 기술은 사람에게 무해하면서도 공기 중의 병원균과 바이러스를 24시간 제거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에스오는 농업 분야에서는 과일 저장 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를 분해하여 사과나 샤인머스켓과 같은 농산물의 숙성을 지연시키고, 저장 기간을 늘리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첫 아이를 낳고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면서 공기의 안전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고 밝힌 이 대표는 “공학을 전공한 남편과 생명공학을 전공한 제가 함께 머리를 맞대어, 보다 안전한 생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고, 그 결과로 에스오를 창업하게 됐다”고 했다.“경북대학교에서 세포 독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에 도전했다”고 밝힌 이 대표는 “생명공학, 재료공학, 농업, 어업, 의학 분야에 종사하는 주변 친구들과의 토의를 통해 에너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자외선 변조 기술을 개발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이 대표는 창업 과정에서 경북테크노파크와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고향인 영천으로 돌아온 것은 자연스러운 결정이었다”고 강조한 이 대표는 “지역 농산물의 저장 기술을 통해 영천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고 강조했다.에스오의 제품은 병원, 학교, 공공기관 등 위생과 안전이 중요한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병원 복도, 수술실, 환자실 등에서 공기 중의 바이러스와 병원균을 24시간 자동으로 제거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한다.또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과 같은 아이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에서도 공기의 질을 개선해 감기, 독감 등 전염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에스오가 개발한 이 제품은 백화점, 쇼핑몰, 식당, 카페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위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농산물 저장 창고에서는 사과, 샤인머스켓 등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고 한다. 현재 송이버섯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에스오는 고객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더욱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 대표는“농업 분야에서는 사과, 샤인머스켓, 송이버섯과 같은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에 집중할 것”이라며 “병원과 공공기관에서는 전염병 예방에 기여하는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최병식 기자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1 19:42:36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