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안에서 인구 이동중에 특히 청년들의 경우를 보면 거의가 수도권으로의 일방통행입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인서울’ 대학을 목표로 공부 하잖아요. 운좋게 서울에 입성한(수도권도 포함시키자) 청년들은 학업을 마쳐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게다가 지방에서 대학을 나온 청년들마저 일자리를 찾아 다시 수도권으로 몰려 갑니다. 매년 10만 명의 청년이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향한다네요. 그들이 지역을 떠나는 단 한가지 이유, 바로 좋은 일자리를 찾아서입니다. 그런데 따져보니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들이 지방에 남은 청년들보다 돈은 조금 더 벌지만 행복감은 낮고 ‘번아웃’(소진) 경험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통계청이 지난달 26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가을호’를 보면 19∼34세의 비수도권 출신 청년 가운데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의 연평균 소득은 2022년 기준 2743만 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2034만 원)보다 709만 원(34.9%) 더 많습니다. 청년 인구 대비 취업자 비중도 수도권으로 간 청년(72.5%)이 지역에 남은 청년(66.4%)보다 높았어요. 1000대 기업 본사의 73.6%가 밀집해 있어 열려 있는 기회의 땅,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그럴 수밖에 없다는 판단하에 ‘합리적’ 선택이었던 셈입니다. 하지만 삶의 질을 보면 정반대 결과를 보입니다. 수도권으로 떠난 청년이 느끼는 행복감은 10점 만점에 6.76점으로 비수도권에 남은 청년(6.92점)보다 오히려 낮았습니다. 또 희망을 갖고 수도권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긴 했지만 청년들은 비싼 주거비에 긴 통근 시간, 치열한 경쟁 속에 삶의 질이나 행복감은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높은 주거비 부담에 빚도 더 많아졌고, 쪼들림에 시달리면서 결혼은 생각조차 못하고, 국민적 필수품인 ‘힐링’은 꿈도 꿀 수도 없는 처지입니다. 낯선 환경에서 느꼈을 두려움과 외로움까지는 통계 숫자에 모두 담아낼 수는 없었던가 봅니다.숨막히는 환경을 벗어나 가족과 친구가 있는 지방으로 유턴할 의향은 있지만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보장받을 수 없습니다. 요건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바로 연봉 수준과 정주여건입니다. 양질의 일자리에 요즘 청년세대가 바라는 자신의 만족과 행복, 즉 퇴근 뒤에 이어지는 여가 등 삶의 질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지방엔 그들을 만족시킬 교통, 교육, 주거, 의료, 문화, 쇼핑 등의 인프라도 수도권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지방이 소득과 취업 면에서는 수도권보다 못하지만, 삶의 질 면에서는 수도권 못지 않습니다. 청년을 지방으로 유인하기 위한 해결책은 이제 분명합니다. 바로 양질의 일자리와 결혼이나 육아를 위한 인프라가 한 곳에 모인 도시 건설입니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입니다. 지금같은 수도권 일극주의로는 국가균형발전을 절대 이뤄낼 수 없습니다. 지금 청년들 앞에 놓인 현실은 축구장 반쪽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입니다. 한쪽에선 공을 가지기 위해 치열한 몸싸움 속에 부상자가 속출하는데, 이를 지켜보는 한쪽에선 그저 공을 만져볼 수 있는 기회조차 없다는 것에 좌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해법은 지역단위 첨단 산업의 유치와 육성을 통해 높은 연봉의 일자리 창출이 절실합니다. 그래서 현재 수도권 중심의 한 바퀴로 돌아가는 나라에서 지방을 거점별로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특성에 맞게 발전시켜 두 바퀴, 세바퀴로 구르는 나라가 돼야 합니다. 수도권 집중으로 지역이 소멸하는 악순환과 마이너스 게임을 그만하고 지방의 인프라와 생활여건을 향상시켜 청년들이 스스로 돌아올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태어나고 자란 곳에서 계속 공부하고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만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지요.지방에도 양질의 일자리만 제공된다면 인구소멸과 지방소멸 모두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봅니다. 교육이나 취미 등 여유생활을 위한 인프라는 그 다음에 생각해도 여유가 충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