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인구는 지난 7월에 10만이 붕괴된 이후 다시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을 중심으로 눈물겨운 사투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마지노선이 무너졌고, 반등의 동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그렇다고 오뉴월 장마에 흙담처럼 무너지는 걸 손놓고 지켜보고 있을 수만은 없다. 인구감소는 종내 지역소멸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실패의 사례를 통해서라도 반등이나 감소를 최소화할 종합대책이 나와야 한다.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9200명(7.7%) 감소했다. 1960~70년대까지 100만에 가깝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35만7800명) 40만 명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2020년 27만2300명이 돼 30만 아래로, 2022년에는 24만9200명이 되며 거의 반의 반토막이 됐다.우리나라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970년 4.53에서 급격하게 감소해 1983년에는 대체 수준(2.10) 아래인 2.06으로 떨어졌고, 2023년 합계출산율은 1분기 0.81명, 2·3분기 0.7명 등 후반으로 갈수록 더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으며, 4분기에는 0.65명으로 사상 처음 0.6명대까지 추락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지방소멸이라는 키워드는 지방자치단체의 존립을 흔든다. 고령화로 앉아서 먹을 입은 갈수록 늘어나는데 노동이나 생산 인구는 줄어드니 생산 감소, 소득감소, 소비위축, 경제불황이라는 악순환이 이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저출산·고령화는 지자체의 성장동력 저하로 나타나고, 인구감소를 막지 못하는 자치단체는 소멸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사람이 떠나고 텅 빈 마을에 남은 사람의 앞날마저 불안하다. 발등의 불이 된 ‘지역소멸’이란 말이 너무 쉽게 인구에 회자는 지경까지 왔다. 우리는 기어코 청년들이 돌아오는 영천으로 만들어야 우리가 살 것이다. 정부, 영천시, 민간 부문 등의 협력이 절실하다. 앞서 말하듯 이제라도 인구 위기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역 상권의 규모 유지를 위한 인구감소 종합대책을 마련할 때다. 영천시 인구가 감소하는 주요 원인별 순위를 정하고 그에 상응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뜻이다. 문제가 되는 원인별 분석에 의한 심도있는 원인 규명과 맞춤형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늘상 강조하는 이야기지만 지방이 어려움을 겪는데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니 청년인구가 유출되고, 주거 문제, 교육문제가 항상 앞자리를 차지한다. 이와 더불어 혹여 기존 인구정책에서 엉터리 진단과 처방으로 인한 실패 사례가 있다면 반드시 그 원인을 파악해 대응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며, 거기에 맞는 시책을 펴는 것이 해결책이라 볼 수 있다. 인구감소는 결국 지역소멸로 연결된다. 다시금 실효성 있고 지역 특성에 맞는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을 통해 인구감소를 막는 것은 물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길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