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횡단이나 차량의 운행중 불법유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교통시설물이 운전자들에게 오히려 안전 운전을 방해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무단횡단 방지 휀스의 본래 목적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었지만, 이러한 시설물이 오히려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려 운전 중 혼란을 야기하고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같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영역을 갈라놓아 단절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일부 운전자들에 따르면 중앙분리대 방지 휀스 높이가 약 1M정도로 높고, 설치 길이도 정지선까지 연결돼 있어 승용차 운전자들이 운전석에 앉았을 때의 눈높이에서 시야가 가려 상대 차량을 인식하기가 힘들다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나 점멸 교통신호가 있는 교차로의 경우 차량들이 좌회전 시 상대 차량을 식별하기가 분명하지 못해 안전 운전에 큰 위협이 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영천시는 경찰서와 함께 보행자의 무단횡단 방지와 운전자들의 안전,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시내 중앙선에 무단횡단 방지 휀스를 설치했다.특히 공설시장 앞 도로 등 시내 무단횡단 사고가 빈번한 곳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도심 전 지역에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시설물을 설치해 무단횡단과 교통사고가 줄어드는 효과를 거뒀다.하지만 무단횡단 방지 시설이 현장의 현실적인 도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설치돼 일부 운전자들에게 교통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것이다.50대의 한 운전자는 “시내 도로를 운행하다 보면 약간의 오르막이 있는 길에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할 경우 중앙분리대로 인해 반대차선의 차량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사고가 날 뻔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다”며 “도심의 도로 점검을 통해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은 중앙분리대를 일부 낮추거나 제거하는 것이 교통 흐름이나 사고 방지에 맞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3면에 계속>최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