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군부대 통합이전 사업이 최종 후보지 결정을 앞두고 막판 물밑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4일 대구시의 평가 진행을 의뢰받은 대구정책연구원에서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군부대 이전을 위한 평가자료 설명회가 있었다. 이 자리에서는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가 사업성에 관한 구체적 자료 제출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업은 대구시가 2022년 9월 군부대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를 공모하면서 시작됐다. 영천시는 이 공모 사업에 경북의 상주시와 칠곡, 의성, 군위군과 함께 유치 신청을 했다. 대구시는 같은 해 12월 국방부에 군부대 이전 관련 사전협의를 요청했다. 이후 국방부와 대구시가 2023년 12월 군부대 이전 관련 민·군 상생 협력 방안이 담긴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대구 소재 5개 부대의 이전이 본격 추진됐다.이전 대상은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 등 대구 도심 소재 5개 부대다. 국방부는 지난 1월 20일 열린 ‘대구 군부대 이전 예비후보지 선정 심의위원회’에서 임무수행 여건 및 부대원 정주환경 등을 평가해 예비후보지 3곳을 선정한 바 있다. 이전 후보지로는 경북 영천시, 상주시와 대구시 군위군(유치신청 당시는 경북)를 선정했다. 국방부는 ‘대구 군부대 이전 예비후보지 선정 심의위원회’에서 임무수행 여건 및 부대원 정주환경 등을 평가해 예비후보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예비후보지 3곳을 대상으로 사업성 및 수용성을 다시 평가해 최종 이전 후보지 한 곳을 오는 3월 안에 결정할 계획이다.이와 관련 지역 주민들 사이에선 지난해 7월부터 대구시에 편입된 군위군을 두고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을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징후는 곳곳에서 나타난다. 최근 그동안 군부대 이전 반대의사를 표명하던 군위군 삼국유사면 주민들이 찬성 방향으로 의견을 나타내면서 주민 수용성에서 유리한 점수를 받으려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희망 지자체로부터 오는 24일까지 평가자료를 제출받고 구체적인 사업비나 주민 동의율 등의 검증을 거쳐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종합해 대구시로 통보하면 대구시는 이를 근거로 3월 안에 최종 후보지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영천시는 그동안 군부대 이전 유치에 공들여온 일련의 일들과 관련 반드시 최종 유치 결정을 이끌어 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시는 평가의 두 축인 사업성과 수용성에 촛점을 맞추고 평가 자료에 담길 막판 경쟁력 올리기에 혼신의 힘을 모으고 있다. 영천시는 지역이 극난극복의 DNA가 살아있는 군 친화도시라는 점과 군 임무 수행여건 면에서 작전상 최적지, 사통팔달의 교통 중심지로 군인가족들의 정주여건 구비, 야외 종합훈련장 제안부지내 국방부 부지가 포함돼 사업 경쟁력을 갖추었음을 부각시킨다는 복안이다.이와함께 수용성 확장의 일환으로 12일 오후에 팔공산 갓바위에서 열리는 군부대 유치 기원법회와 같은날 청년연합회 주최로 영천강변공원의 정월대보름 시민한마당 행사에서도 민관이 한마음으로 유치를 기원할 예정이다.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지자체가 추진하는 부대 이전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영천시도 군부대 유치를 통해 군이 현대화된 시설을 갖춰 국가 안보와 전투력 수준을 높이고, 영천시는 침체되는 도시에 인구 증가와 지역 발전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영천시 관계자는 “대구 군부대 이전은 최종 이전지 확정의 마지막 단계만을 남겨 두고 있다”면서 “영천시는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최선을 다하고, 시민들의 하나된 유치 의지를 보여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주민들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