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에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이른바 우클릭 발언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어요. 이 대표는 “민주당은 중도 보수 정당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대표가 왜 이런 말을 하는 건지와 뜨거운 정치권 반응을 싹다 모아 정리 한번 해봅니다. 지난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은 원래 성장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정당이다”라며 “우리는 진보 정당이 아니다”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이 전에도 이 대표는 유튜브 채널 등에 출연해 민주당의 이념적 성향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민주당은 중도 보수고, 국민의힘은 극우 보수에 가깝다”라는 입장을 확실히 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에 친이재명계 의원들은 “기본적으론 진보적 가치를 지향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선 중도 보수적인 방법론까지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다”라고 친절히 설명을 해 줍니다.전문가들은 이 대표가 이러한 발언을 한 이유로 ‘중도층의 표심’을 꼽고 있어요.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면 열릴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꼭 중도층을 잡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사이에 중도층 표심을 놓고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해석입니다.지금의 정치 상황에서 특별히 선호하는 정당과 정치인이 없는 중도층이 계속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달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도층 응답자 중 44%가 ‘선호하는 대통령감이 없다’고 해석될 수 있는 ‘의견 유보’에 답했답니다. 지난해 12월 진행된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중도층의 ‘의견 유보’는 한 달 새 10%p가 늘어났다고 하네요. 이러한 결과에 전문가들은 “대선이 ‘보수 대 진보’ 구도로 진행될 경우 중도층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많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 역시 캐스팅보트로 떠오른 중도층 표심을 잡기 위해 ‘중도 보수’ 발언을 한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당 안팎에선 이 대표의 발언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어떤 비판이 나오는지 한번 볼까요. 민주당 내 비이재명계 의원들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주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라며 비판을 쏟아 붓습니다.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의 진보 정신을 이어가는 정당으로서 민주당 정체성을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다는 겁니다. 당원들과의 충분한 토론을 거치지 않은 발언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냅니다. 국민의힘쪽 역시 이 대표의 발언에 대해 “지지율을 위해 정체성마저 내던졌어”라는 반응을 내놓으며 강하게 비판합니다. 중도 보수라면 기업 친화적인 자세가 있어야 하지만, 이 대표에게선 보이지 않는다는 건데요. 이 대표가 사법리스크를 회피하고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쓰는 전략이라는 얘기까지 나왔어요. 그러면 앞으로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측은 어떻게 할지 궁금하지요. 민주당은 이 대표가 쏘아올린 ‘중도 보수’ 발언 외에도 같은 맥락의 ‘실용주의’ 전략을 앞세운 정책을 내놓으며 중도층 표심을 끌어오려 하고 있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에 동의하거나 상속세 감면의 입장을 내놓는 등 기존 진보정당의 입장과는 다른 행보를 상당히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국민의힘이 지지층 결집에 우선하고 있는데 반해 민주당으로선 합리적 보수를 흡수하고, 정치적 영역을 확장하려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는 듯 합니다. 정의당 등 더 강한 진보 정당의 영향력이 약해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과거보다 큰 보폭으로 중도로 향해 나아갈 수 있다고 판단해서라는 말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편에선 이 대표의 발언이 “민주당은 중도 보수고, 국민의힘은 극우에 가까워!”라는 선언에만 그치면 정치 전체가 보수쪽으로 쏠려가는 결과만 초래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오히려 기성 정치에 대한 피로감만 키울 수 있다는 것이겠지요.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의 반응과 행보가 무엇인지 독자여러분과 관심있게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