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던 아기 울음소리가 다시 울려 퍼지고 있다며 좋아들합니다. 0.72명까지 떨어지던 합계출산율이 아무것도 하지않고 그냥 놔두면 0.6명대의 참사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했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는지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5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습니다. 희망없이 암울한 전망이 나오던 때를 생각하면 당연히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다만 정부는 단기적 지표에 일희일비하는 대신 저출생을 심화시킨 우리 사회의 구조적 요인을 해소하는 데 힘을 쏟아야겠지요.지난달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천여명으로 한해 전보다 8천명 가량 늘었습니다. 2015년 이후 쭉 하락세를 이어온 연간 출생아 수는 2020년 이후로 20만명대를 벗어나지 못했는데 지난해엔 소폭 오른 것입니다. 합계출산율도 전년보다 0.03명 올라 겉으로는 하락세에 종지부를 찍은 듯 보입니다. 9년만의 반등 배경에는 출생아 수가 일시적으로 많았던 ‘에코 베이비붐’ 세대(2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 1991~95년생)가 결혼적령기에 접어들면서 혼인과 출산으로 이어졌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미뤄졌던 혼인 건수가 함께 증가한 점이 출산율 반등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결혼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조금씩 개선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최근엔 ‘무조건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기존의 강요적 분위기를 벗어나 ‘출산은 개인의 선택’이라는 인식이 자리를 잡으면서 자발적인 출산을 선택하는 부부들이 조금씩이지만 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추진한 저출산 대책도 미미하지만 일정 부분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추세를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할까요. 아직은 불확실한게 현실입니다. 해결해야 할 구조적 문제가 많지 않습니까. 한국의 20~30대 인구는 해마다 감소하는데, 이는 출산율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난해 출산율이 조금 올랐다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출산 가능 남녀 인구가 줄어드는데 출생아 수도 준다는게 바람직한 예측 아닐까요.거기에 높은 주거 비용과 불안정한 일자리 문제를 꼽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육아와 교육비에 대한 부담 역시 그런 요인입니다. 감당하기 어려운 사교육비에 아이 하나 키우는데 드는 경제적, 시간적 부담이 상당하다는 거 젊은이들은 다 압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 육아 지원 인프라 부족으로 출산을 꺼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외벌이로는 더 먹고 살기조차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나 변화가 필요합니다.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1% 증가할 때 합계출산율은 최대 0.3%까지 감소한다는 통계도 있고, ‘7세 고시’가 존재하는 나라에서 출산율 반등을 기대하는건 연목구어입니다.정부 희망대로 내후년에 출산율이 0.8명대로 올라선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청신호로 보기는 어렵고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영천도 마찬가지. 지난해 합계출산율 1.25명으로 전년도 1.19명 대비 0.06명 증가해 전국 시부 1위를 했다고 낙관해선 안 된다는 거지요. 인구 현상유지를 위한 2.1명 내지 2.3명에는 턱없이 모자라는 숫자 아닙니까. 지난해 9년만의 출산율 반등은 긍정적인 신호임은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이 분위기를 이어갈려면 결국 양질의 일자리와 보육이 핵심이므로 이런 구조적 문제에 정책 역량을 모아야 합니다. 단순히 출산장려금 지원을 넘어 주거·일자리 안정과 양육 지원정책 강화, 일·가정 양립을 어렵게 하는 장시간 노동환경 개선 등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부의 이런 정책에 기업들이 출산장려금 지급과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보태고, 지자체는 그 지역에 맞는 출산, 육아 혜택 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책을 펴 사회 전반에 결혼·출산 지원과 일·가정 양립에 진심이라면 우리의 출산율은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