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주민의 식수원인 영천댐 상류 자양면 8개 마을의 오·폐수를 정화하는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사가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영천시가 자양면 영천댐 상류지역 오·폐수를 정화하는 하수처리시설을 할 목적으로 당초 충효2리 544-5번지에 설치할 예정이었으나 2023년 10월 혐오시설이 들어 선다는 소식에 마을 주민들이 피해를 입게 생겼다며 반대에 나섰다. 당시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 장소를 충효2리가 아닌 다른곳으로 옮겨 공사를 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영천시는 예산과 공기지연, 환경정비구역 지정 등을 이유로 원래대로 사업을 시행할 것을 제시했고 주민들의 반대가 강해지자 영천시는 피해보상 차원으로 처리장과 마을 공동창고 옥상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해 마을 수익사업이 가능토록 해달라는 주민들의 제안을 수용했다. 이에 양측은 지난해 10월 2억 원 정도의 예산으로 80Kw 정도의 발전량을 생산하는 태양광 시설 지원 사업에 합의했다. 태양광 시설 설치 예산은 8개 마을의 낙동강 수계기금을 활용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이 다른 마을로 전해지자 나머지 7개 마을에서는 수계기금을 충효2리만을 위해 쓰는데는 반대한다고 나서자 영천시가 난감한 처지가 됐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주민들은 영천시가 충효2리 주민들에게 처리장 옥상 태양광 시설을 다른 7개 마을 주민들에게 양보하는 대신 ‘마을의 SOC사업비를 1년에 4천만 원씩 2년치를 지원하는 것과 마을 공동창고에 태양광 시설을 10Kw/h를 추가 설치’해 주겠다는 제안마저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시 주민들이 앞의 내용을 이행하는 조건에 처리장 옥상의 태양광 수익금을 처음 5년은 이 마을이 가지고 이후에는 나머지 7개 마을에 양도하기로 제안했으나 7개 마을 주민들이 동의하지 않자 다시 3년으로 수정 제시했음에도 응하지 않으면서 답보 상태에 빠졌다. 이와 동시에 7개 마을 주민 394명은 공공하수처리시설 공사를 원래 계획대로 진행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영천시에 제출하기에 이르렀다. 충효2리 주민들은 영천시가 직접 작성해 제시한 영천댐 상류 충효·용산 농어촌마을 하수도정비사업 ‘하수처리장 주변 지역 지원계획(안)’을 조속히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지금의 문제를 풀 주체가 영천시라는 점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에 충효2리 하·오수 정화시설 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영천시로 공문을 보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주민 A씨는 “우리가 통큰 양보심을 발휘해 절충안을 제시해도 이를 묵살하고 주민들의 희생만 강요하며 아무 대책도 내놓지 않으면서 우리를 무시하는 처사가 괘씸하다”면서 “문제가 되면 다른 부서로 가면 된다는 식의 시청 직원들의 무책임에 화가 난다”고 말했다. 충효2리 하수정화시설 대책위원장도 “영천시가 당초 마을 주민들과 한 약속을 무시하고 이제 와서 간담회를 한다는 명분으로 평온하던 인근 주민들 간에 불화만 만들어 놓았다”며 “인근 주민들이 반대한다고 약속을 저버리는 책임 회피성 행정을 보고 있자니 울화통이 터지는데 영천시가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대해 영천시 관계자는 “영천댐 준공 40년만에 어렵게 국비를 요청해 하수도정비 공사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려 하는데 댐 상류지역 주민들간 의견 충돌로 안타까운 지경이다”며 “주민들의 양보와 합의가 없으면 원래 계획대로 공사를 진행할 수밖에 없겠지만 그때까지 주민들을 최대한 설득해 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사 강행시 물리적 충돌마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보인다.영천댐 상류 마을은 1978년 5월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생활 오·폐수를 정화할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없어 여태껏 생활하수가 영천댐에 그대로 유입돼 수질보호가 절실한 실정이었다.상류 8개 마을은 충효2리를 포함해 충효1·3리, 보현1·2·3·4리, 도일리 등이다.최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