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차 옛날의 녹동(鹿洞중국 최초의 서원 이름)의 백학산과 천년이 지난 후에 나란히 아름다우니 화산의 한 지역이 가히 한번 변하여 노나라(魯 공자의 고국인 노나라. 즉 성인의 나라)로 된 것이다. 계 황준량은 실로 퇴계 이황선생의 빼어난 제자인데, 일찍이 선생의 문하에 우러러 품의하여 (서당의)이름을 여쭈었더니 퇴계 선생께서는 ‘백학서당’이라 명명하시고 손수 (백학서당 이라는)넉자의 큰 글자를 쓰셔서 편액 하셨다. 이에 공은 스스로 서문을 지어 그 일들을 기록하고 또한 시 세편과 도산서원의 학규(學規)로써 학문을 권장하고 권면하는 본보기를 부치셨으니, 두 분 선생의 (유학을) 진작하시는 하나의 방법의 뜻이 성대하지 않겠는가? 이듬해인 병진년 겨울 선생께서는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셨지만 남기신 서당이 예전과 같으므로 고을의 선비들이 (황준량 공이)가신 후에도 사모하는 마음이 이에 미상불 애타게 그리워하지 않음이 없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재가 되어버려 편액과 학규는 없어져 남아있지 않았지만, 그러나 홀로 시판(詩板)만이 어느 선비의 집에 온전히 남아 있어 이로부터 한 고을의 인사(人士)들이 서원이 있던 옛터가 잡풀에 우거짐에 대하여 개탄하지 않는 이가 없어 언제나 (사당을)중수함으로 뜻을 삼지 않음이 없었다. 만력 40년(1612. 광해4) 임자년에 고을의 유지인 김득우 공이 맨 먼저 의논을 내어 (서당을 중수 할)재목을 모으고 기술자들을 모집하여 옛 집을 갱신하니 포사(관리사)와 묘우가 환하게 일신되었기에 드디어 두 분 선생의 제사 드림이 논의 되었지만, 그러나 다만 땅이 한 곳에 치우치고 인적이 드문 곳이라 (사당)지음이 어려웠다. 효종조 무술년(1658)에 이양욱씨가 사림들과 의논하여 옮길 곳을 정하되 옛(사당)터의 북쪽 5리쯤 되는 오도리로 하였는데, 그 땅의 맑고 빼어남이 백학산보다 못하지 않았다. 인하여 백학산의 옛 이름(백학서당)으로 서원을 건립하여 관리사와 창고 그리고 포사를 먼저 이루었다. 기유년(1669)에 이성춘이 강당을 만들고 정사년(1677)에 이동석이 사당(묘우)을 만들었으며  이듬해 무오년(1678)에 조영하씨가 널리 도내 유림(선비)들을 맞이하여 3월의 두번째 정일(丁日)에 드디어 이선생(퇴계)을 봉안하고 이로써 금계 황준량 공을 종향(從享)하였다. 서당(백학서당)으로부터 나아가 서원이 되고, 문하의 제자로 인하여(즉 황준량) 선사(퇴계)를 좆아 제사 드리니 소요하시던 향기 남긴 땅이 끝내 제사 드리는 곳이 되어, 많은 선비들의 크게 사모하는 정성으로 드디어 드높이 받드는 예를 이루었다. 봄가을 제사 드림에 번다한 의식이 깨끗하며 선비와 벼슬아치들 떼 지어 살면서 주선할 곳이 있으니, 즉 그 우러러 사모하는 도리가 거의 유감이 없구나. (계속)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1 20:17:09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