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적으로 공무원을 사칭한 식당 예약 선결제 사기, 물품 납품 사기 등 유사 피해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이런 사례가 확인되면서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공무원이나 대학 직원, 군인, 정당 등 기관의 직원으로 사칭하며 가짜 공문서나 위조 명함을 활용하는 수법까지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노쇼 사기는 단체예약이나 대량 구매를 빌미로 자영업자가 타 업체에 선입금을 하게 만든 후 선입금 한 돈을 가로채 연락을 끊고 잠적하는 사기 범죄다.일당들은 조악하게 만든 가짜 공문서 형태의 서류를 휴대폰 메시지로 먼저 보내 ‘시청 직원’이라는 위조된 명함을 제시한 뒤, 물품 구매 의사를 밝히며 또다른 물품을 다른 업체에서 대신 구매해줄 것을 요구하며 해당 업체에 대금을 대납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이런 공문에는 발주기관과 공급사의 명칭과 사업자 번호까지 있고, 결재 방법과 결제일시, 결제 금액도 명시해 놓았다. 시청 소속 공무원을 사칭한 한 남성이 만든 6월 17일자 공문을 보면 지역의 모 농자재 판매업체에 ‘영천시청장’이라는 명의로 허위 공문을 작성해 보냈다. 이 공문에는 신규청년 귀농인 영농정착 지원사업을 한다며 물품 구매 확약서라 기재돼 있다. 확약서는 ‘농업용 장갑’ 납품을 요구하며 물품 공급을 원활히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적혀있다. 이를 타 업체를 통해 다른 물건을 사들인 뒤 납품하도록 유도했다. 이 업체는 수차례에 걸친 전화 통화에서 수상한 점을 발견하고 농업기술센터에 사실 확인을 하면서 피해 발생으로 이어지진 않았다.하지만 안타깝게 실제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지난 18일 시내 모 업체가 앞선 숫법과 비슷한 내용으로 AED심장충격기를 타업체를 통해 구매해 달라는 사기에 1200만원을 송금해 피해를 입는 일도 있었다. 해당 사건 역시 조작된 명함을 사용해 실제 공무원 이름과 부서를 도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사례들을 종합해 보면 최근 시도되는 노쇼 사기는 공무원 부서·이름을 도용하고,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등을 조작한 명함 이미지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등 고도의 치밀한 수법으로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자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예방하려면 선입금 요구에 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산 착오, 긴급 물품 구매 등 명분을 내세우더라도 선입금을 요구하는 순간 사기를 의심해야 하며, 공무원을 사칭한 ‘감사 때문에 급히 구매해야 한다’ ‘지금 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식으로 긴박함을 조성하는 말투는 전형적인 사기 수법인 만큼, 혼자 판단하지 말고 즉시 가족이나 지인 또는 경찰 등과 상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소상공인들은 의심스러운 명함이나 공문을 받으면 그 즉시 해당 관청에 문의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관계기관들도 지역주민 보호 차원에서 현수막이나 SNS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환기시키고, 사기 시도에 대한 예방 활동을 적극 강화해 나가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