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량(黃俊良. 1517~1563)조선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해. 자는 중거(仲擧). 호는 금계(錦溪). 사온서주부 영손(永孫)의 손자 치(觶)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교수 황한필의 따님이다.이황의 문인으로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기동(奇童)으로 불리웠고 문명(文名)이 자자하였음. 1537년에 생원시 합격. 1540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권지성균관학유로 임명. 이어 성주 훈도로 차출. 1542년에 다시 성균관 학유. 이듬해 학록으로 승진. 양현고 봉사 겸임. 1544년 학정. 1547년 박사. 이어 전적에 오름. 1548년 공조좌랑 재직 중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 뒤 1550년 전적에 복직. 그 뒤 호조좌랑으로 전직되어 춘추관기사관에 겸임하면서 중종실록과 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해 다시 병조좌랑직으로 전직하여 불교배척의 소를 올림.이듬해 경상도감군어사로 임명. 이어 지평에 제수되었으나 앞서 그에게 청탁을 하였다가 거절당한바 있는 언관의 모함이 있자 외직을 자청 신녕현감으로 나갔다가 1556년 병으로 사직. 이듬해 단양군수 1560년 성주목사로 4년간 재임하다 1563년 봄 병으로 사직하고 귀향하던 중 예천에서 죽음.신녕혐감 시 기민(饑民)을 잘 진휼하여 소생하였고, 전임관의 부채를 절약과 긴축으로 보충하고 부채문권을. 태워버린 일도 있음. 특히 학교와 교육진흥에 남다른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을 창설하는 등 숱한 치적을 남겼고, 성주와 단양에서도 교육진흥에 노력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다.슬하에 자식이 없어 아우 수량(遂良)의 아들을 양자로 삼음. 풍기의 우곡서원(遇谷書院)과 신녕의 백학서원에서 제향 함. 저서로는 ‘금계집’ (한국인물대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소 소작)에서 채록)○백학서원의 지리적 상황1. 백학서원고지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일명 양강수 듬 위로서 가근방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절경이다. 강당이 있던 자리와 우물터 등이 있고 지금도 와편(瓦片) 등의 흔적이 남아 있다.(고지 뒤편에 토석 혼축성의 옛 성터가 있으니, 골벌지」(영천향토사연구회에서 만든 것. 제5집 가운데 실렸음)에는 ‘옛날 산성이 있었으니 본래 한사군의 하나인 임둔의 옛터로서 화동 성주가 만든 것’이라 한다).이곳이 바로 서기1552년 금계 황준량이 고을의 선비들과 더불어 만든 ‘백학서원’이며, 문헌상 확인 할 수 있는 건물로서 강당과 묘우 그리고 고직사 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지리적 여건은 대단히 협애하여 서기1658년 보다 개활한 곳을 찾아 이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