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사는 딸이 여름 방학을 한국에서 보내려고 외손녀 둘을 데리고 왔다.미국에서 인터넷 서핑으로 영천에 기숙형 중학교가 있다는 것을 알고 교장선생님께 두 손녀가 그 학교의 청강생이 되게 해 달라고 청원을 넣었다는 것이다. 미국 학기가 6월 중순에 끝나므로 한국 학교가 여름 방학에 들어가는 7월 20일 전후까지 이곳 청강생이 될 수 있다.외손녀 둘은 20세 성년이 될 때까지 이중 국적이므로 한국의 공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래도 교장선생님은 여러 사정을 들어 거절할 수 있을 텐데, 인터넷에 나와 있는 교장선생님의 이메일로 그런 부탁을 해서 허락을 받은 딸이랑 그 청원에 대답해준 교장선생님의 열린 마음이 모두 놀웠다.참으로 세계가 한 마을이 된 것처럼 느껴졌다. 쉽지 않은 결 정이었을 텐데... 교사들은 과외의 부담이 늘어날 테니 선뜻 환영하는 분위기가 아니었을 테고 교장으로서는 그들을 설득하고 부탁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을 것이다.2년 전, 내가 전라도 능주에서 살 때도 아이들이 그곳에 와서 학교를 다닌 적이 있다. 그때는 초등학교였다. 큰 놈이 6학년, 작은 놈은 4학년. 초등학교라 훨씬 공부 부담이 적었다. 지금 중학교에서 그것도 기숙학교에서 잘 지낼 수 있을까?오늘 일주일 준비물을 백팩에 담은 아이들이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반으로 배정을 받을 때까지 함께 학교에 있으면 서 학교 시설물을 돌아보고 설명을 들을 기회를 가졌다.중학교의 이름은 영천 별빛중학교. 영천시 4개 중학교가 정 원 감소로 합체를 해 별빛중학교로 재탄생한 지 2년 반이 되었단다. 3개 학년의 총 정원은 120명으로 25명의 교사가 학생들을 이끌어 가는데 저녁 식사 전까지 공부를 하고 그후에는 미술, 체육, 음악 등의 특별 활동을 한단다. 기숙사는 남녀 각각 별도의 건물인데 한 방에 세 개의 침대가 있고 화장실과 샤워실이 같은 방에 있어 세 학생이 룸메이트로 생활을 함께 하는 데 부족함이 없어 보였다.학교 본관 건물은 1층이 체육관과 식당, 2층은 교장실과 교 무실, 행정실, 3층과 4층은 도서실, 컴퓨터실을 비롯한 갖가지 전문 분야 교실인데 모두해서 20개 방이 넘는다고 한다. 미국 의 고등학생들처럼 시간마다 관련된 전문 분야 교실로 학생들 이 이동을 해서 수업을 받는다고 했다.두 아이들은 호기심 반, 두려움 반의 표정으로 소개받은 담임 선생님과 함께 각자 자기 반으로 사라졌다. 우리 부부와 딸만 남아 교장선생님께 감사를 표하고 돌아 나왔다.집으로 돌아오니 마음이 허전하다. 세 사람 모두 서로의 얼굴만 멀뚱멀뚱 바라보며 꼭 아들을 군대 보낸 심정으로 혹시 아이들에게서 힘들다고, 못 하겠다고 연락이나 올까봐 마음 졸이면서 시간을 보냈다.딸은 한국 중학교의 시설이나 다양한 방과후 수업 종류에 감탄 일색이다. 나는 그런 학교의 수업 내용보다 교장선생님의 이야기가 더 뇌리에 깊이 박혔다. 항상 교장실의 문을 열어 두면서 학생들과 대화와 소통을 하신다고 한다.이곳은 시골이라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 환경이 불우한 학생들, 편부나 편모 슬하, 조손 가정이 많고 그래서인지 모르지만 학생들이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교사들이 가르쳐 주려 해도 완강히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셨다. 그래도 반복해서 따뜻한 마음을 보여주면 결국 모두들 돌아오더라고 하셨다. 교장선생님의 인자한 얼굴만 봐도 좋아할 학생들이 많을 것 같다.선생님들도 그런 보스를 모셔서 얼마나 좋을까? 내가 이런 말을 한다면 교장 선생님은 분명 ‘제가 선생님들을 잘 모셔야 죠’ 이렇게 말씀하실 것 같다.저녁이 지나도록 아이들한테서 못하겠다는 전화는 없었다. 첫날 하루, 무사히 지나가나 보다.우리나라의 공교육도 이젠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조용하고 한적한 생활을 원하는 젊은 부부가 자녀들을 믿고 맡길 시골 학교가 이렇게 홀륭하니 앞으로는 시골 학교 유학이라는 말도 생겨날 것 같다. 꼭 대도시에만 유학하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요? 영천 별빛중학교로 아이들을 유학 보내는 것, 생각해 보실래요? (2018년 7월 2일)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23 17:37:10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