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새마을부녀회 A 회장의 도덕성을 둘러싼 갈등이 8개월여 만에 막을 내릴 전망이다. 부녀회는 지난달 30일 오후 임시총회를 열고 회장의 민원 관련 사항을 심의 의결할 예정이었으나 8월 말 자진 사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이 사태는 지난해 12월 A 회장에 대한 진정서 제출, 해임 및 재심에 이은 직무 복귀 결정, 시민게시판 폭로성 게시물, 경찰 고소에 이르기까지 그간 부녀회의 혼란과 갈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결국 도 부녀회의 임시총회 개최라는 중재에 따라 8개월여를 끌어온 갈등에 끝이 보이고 있다.이 일련의 흐름은 단순한 내부 갈등이 아닌, 새마을부녀회 조직 신뢰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드는 치욕적인 상황이었다. 문제의 시작은 A 회장의 도덕성에 관한 의혹이었다. 그 내용은 불법 구판사업, 대금 미지급, 그리고 찬조금 강요 등 심각한 윤리적 사안이다. 이에 도 새마을부녀회는 영천 부녀회에서 제출한 진정서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해임을 결정했다. 하지만 A 회장의 이의신청으로 해임 결정이 취소됐으나, 제출된 한 부녀회원의 자술서의 진정성 논란으로 이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조직 내부에서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 부족했고, 도 부녀회의 책임 회피성 공문 하나로 갈등은 깊어지며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최근의 사태는 과연 새마을회의 구성원들이 새마을정신을 제대로 계승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 만든다. 새마을부녀회가 더 이상 지역 봉사단체가 아닌, 권력 다툼의 장처럼 비쳐졌다. 이는 조직의 명예는 물론, 그 안에서 묵묵히 봉사하는 대다수 회원들의 자긍심을 송두리째 짓밟는 결과로 빚어졌다.이번 사태는 특정 개인의 잘잘못을 넘어, 새마을조직 전체의 구조와 문화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되었으면 신속하고 일관된 대응으로 갈등을 조기에 수습할 의지를 보여야 했다. 이제 새마을부녀회와 새마을회는 이번 사태를 조직 쇄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첫째, 윤리규정과 징계 절차는 보다 명확하고 공정하게 운영되어야 하며, 감정이 아닌 사실에 근거한 판단이 원칙이 되어야 한다. 둘째, 갈등 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사무국과 부녀회, 읍면동 조직 간의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협력 체계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셋째, 외부 언론과 시민에 대한 투명한 소통과 설명이 병행되어야 한다. ‘침묵과 방관’으로는 더 이상 지역 사회의 신뢰를 유지할 수 없는 현실임을 깨달아야 한다.새마을부녀회의 이번 사태는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 되어야 함으로 책임있는 자는 책임을 지고, 조직은 새로운 리더십을 통해 환골탈태해야 한다. 새마을운동의 처음으로 돌아가 이웃 사랑과 공동체 정신이 회복되지 않는 한, 그 어떤 외형적 조직 정비도 공허한 껍데기에 불과할 것이다.이제는 지역 사회를 위한 진정한 봉사 단체로 거듭나야 할 때다. 새마을부녀회의 쇄신은 곧 지역 공동체의 올바른 회복이며, 나아가 영천의 풀뿌리 자치의 건강성을 가늠할 바로미터도 될 것이다.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8-16 09:04:17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