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척에 영천댐을 두고 자양 면민들은 식수가 부족해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상한 현상 아닙니까?”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A씨는 지척에 영천댐을 두고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는 지하수에는 석회성분이 많이 검출돼 정수기를 사용해야 하고, 여름철만 되면 물 부족으로 제한 급수를 받는 등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 했다.
이같은 현상은 영천댐 인근 용성·보현리와 송정·절곡리 등 지역민들의 공통적인 불편사항이다. 특히 임하댐 도수로 작업과 미나리 집산지인 정각리에서 미나리 재배를 위해 무분별한 개발로 지하수도 부족한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한국수자원공사가 댐 건설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댐 소재 지방자치단체에 매년 수 십억원대의 물 값을 징수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천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특히 최근 자양면 일대 주민들이 지하수 사용으로 인한 석회성분 과다 검출과 식수 부족 등으로 인한 민원이 제기되면서 지역 시민단체가 한국수자원공사를 상대로 물주권 확보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희망영천시민포럼 관계자는 “수자원 개발시설이 위치해 있는 수계 상류지역 주민들의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등으로 인해 부담과 피해가 크다며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영천댐은 대대로 물려받은 문전옥답을 수자원 이용이라는 국가적 대의에 따라 삶의 터전을 빼앗긴 주민들의 희생물이라며, 방류된 물을 취수하는 댐 소재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원수 사용료가 면제 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영천시도 한국수자원공사에 매년 지불하는 물 사용료는 부당하다며 지역 국회의원에게 문제 해결을 요청하고 국회에 법 개정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김영석 영천시장은 “국민들에게 양질의 식수를 공급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무임에도 공기업인 한국수자원 공사가 너무 이익 창출에만 빠져 있는 것 같다”며 “공사에 지불하는 물 사용료의 근거가 되고 있는 관련법 개정에 비슷한 처지의 자치단체들과 공동 전선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천시는 한국수자원공사에 영천댐 원수 사용료로 연간 27여억원(1톤당 223원), 청도 운문댐 정수 사용료로 연간 21여억원(1톤당 413원)을 지불하고 있다.
1980년 정부로부터 영천댐 시설을 인수한 한국수자원공사는 포항시와 경주시에 공업용수와 식수로 공급하고, 수 년전부터 금호강 하천 유지수로 1일 13만톤을 방류하고 있다.
영천댐 인근 자양면 용성리 집수정. 2년전 농지에 설치된 집수정에서 농약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제기되자, 인근 50m 상류에 새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