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오랫동안 말과 함께 한 나라이다. 드넓은 중원과 몽고, 그리고 광활한 산천을 다니는데 있어서 말은 그야말로 필수적이었다. 중국에서의 말은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고 성공을 의미하기도 한다. 지금도 중국에서는 말이 성공을 상징해서 많은 곳에서 선물로 주고받거나 사업을 하는 사람에게 선물로 사용되어서 식당이나 가게, 회사에 가면 입구에 말 상징물을 두는 곳이 꽤 많다. 또한 중국의 많은 회사 로고에서 말의 문양이 사용된다거나 광고나 매장 간판에 말이 포함된 어휘가 아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말은 중국인들과 항상 함께 했으며 살아서도 죽어서도 충성을 다한 동물 중 하나인데, 그래서 그런지 말에 대한 어휘가 아주 풍부하고 또한 매우 구체적이다. 눈이 많은 에스키모인들에게 눈에 대한 풍부한 어휘가 있는 것과 같다. 사람들은 말에 대해 연령, 크기, 키가 작고 큼, 암수, 털색에 따라 각각 다르게 명명했으며, 이런 말에 대한 구체적이고 풍부한 어휘로 미루어 보아 말이 아주 사람들과 항상 가까이 지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馬이 부수로 들어간 글자는 거의 대부분 말의 뜻을 포함하고 있는 어휘이다. 예를 들면, 다음의 어휘는 모두 말을 지칭하는 말인데, “류(騮)”는 검은 갈기, 검은 꼬리를 가진 빨간색 말을 가리키고, “총(驄)”은 청색과 백색이 섞인 잡색 털의 말을 가리키며, “려(驪)”는 온몸이 진한 검은색 말을 가리키고, “기(騏)”는 털총이라고 부르고 청흑색의 무늬를 가진 검푸른 색깔의 말을 가리키며, “화(驊)”는 적색의 빠르게 잘 달리는 말이고, “추(騅)”는 검푸른 털에 흰색이 섞인 잡색의 말을 가리키는 어휘이다. 이와 같이 말을 나타내는 어휘가 아주 구체적이고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이처럼 세심하게 구분하지 않고 馬로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중국 고문에서 말에 대한 풍부한 어휘는 《시경(詩經)》,《설문해자(說文解字)》에 나온다. 《詩經》은 춘추 시대(B.C. 770년~B.C. 403년)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시집이고, 《說文解字》는 후한(後漢, B.C 202년~220년) 때 경학자 허신(許愼, 58년 무렵~147년 무렵)이 서기 100년부터 시작하여 121년까지 약 22년에 걸쳐 완성한 사전류의 서적이며 한자를 부수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중국의 가장 오래된 자서이다.
《설문해자》의 말에 대한 부분을 보면 53개의 단어가 있으며, 말에 관한 단어가 다른 어떤 동물들 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말의 털색, 우열, 이름, 성별, 성격, 연령, 키에 따라 각각 다른 이름을 정해 놓았다. 이렇게 많은 단어가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로 다양하고 재미있다. 검은색 말이라고 하면 될 것을 검은색 말만을 가리키는 새로운 단어를 만든 것이다. 그러면 여기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騭(수말 즐), 駒(망아지 구), 騏(준마 기), 驪(검은말 려, 검은말 리), 駽(몸에 검푸른 무늬가 박힌 말 현), 騩(털빛거무스름한 괴), 騢(적부루마(붉은빛과 흰빛의 털이 섞여 있는 말) 하), 騅(오추마(烏騅馬: 검푸른 털에 흰 털이 섞인 말) 추), 騮(월따말(털빛이 붉고 갈기가 검은 말) 류), 駱(가리온(몸은 희고 갈기는 검은 말) 락), 駰(흰 털이 섞인 거무스름한 말 인), 驄(총이말(갈기와 꼬리가 파르스름한 흰 말) 총), 驈(다리가 흰 말 율), 驃(누런 바탕에 흰빛이 섞인 말 표), 駹(얼굴과 이마만 흰 푸른 말 방), 騧(털빛이 누런 말 왜), 駓(누른빛과 흰빛이 섞인 말 비), 驖(구렁말 철), 馰(이마에 흰 점이 박인 말 적), 驔(정강이가 흰 말 담, 검은말 점), 驠(꽁무니 흰 말 연), 驳(얼룩말 박), 騽(월따말(털빛이 붉고 갈기가 검은 말) 습), 骏(준마 준), 騛(빠른 말 비), 騎(말탈 기), 驍(황부루(黃--: 누런 바탕에 흰빛이 섞인 말) 효), 駕(탈 것 가), 騑(세 살 된 말 비), 駢(두 말이 한 멍에 매다 병), 驂(곁마(-馬: 마차 옆에 따라가는 말) 참), 駟(사마(駟馬: 한 채의 수레를 끄는 네 필의 말) 사), 駙(곁마(-馬: 마차 옆에 따라가는 말) 부), 騀(말이)머리를 내두르다 아), 篤(도타울 독), 馮(걸어서 물건널 빙), 驅(말을 타고)몰다 구), 馳(달릴 치), 騁(말달릴 빙), 駻(사나운 말 한), 騫(둔할 건), 駉(살질 경) 駃(버새(암나귀와 수말 사이에 난 튀기 결), 騠(준마 제), 驘(노새(암말과 수나귀 사이에 난 튀기) 라), 驢(당나귀 려). 지금은 쓰이지 않아 자판에서 칠 수 없는 몇 글자를 제외시켰다.
말이 오랜 옛날부터 중국인의 삶에 아주 중요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렇게 다양한 단어를 어떻게 다 알고 썼을까 할 정도로 구체적이다. 중국에서는 말의 우열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상마가(相馬家)라는 직업이 성행했을 정도로 말을 중요시했다고 전해지는데, 다음 번에 기회를 만들어 말을 평가하는 직업인 상마가에 대해 알아볼 계획이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주소 : http://cafe.naver.com/orangewo8x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