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에 관련된 한국의 속담을 찾아보면 전부 125개 정도가 된다. 이 중 말만 다르고 뜻이 같은 속담을 정리한다고 해도 최소한 100개 이상이 된다. 지난 회에서 15개 정도 살펴보았고 이번에는 나머지 부분을 살펴볼까 한다. 하지만 여전히 생소한 속담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 속담 중 스스로 얼마나 아는지 한번 체크해 볼만하다. 16 늙은 말이 콩 마다할까(늙은 말 콩 더 달란다고) : 늙은 말이 콩을 싫어할 까닭이 없는데도 싫다고 하는 것은 더 많이 달라는 것이라는 뜻으로, 오히려 더 많이 달라는 듯 갈망하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름.17 내 말이 좋으니 네 말이 좋으니 해도 타봐야 안다 : 무슨 일이든지 실제로 해봐야 분명히 알게 된다는 뜻.18 다리 건너갈 때는 말에서 내린다 : 위험한 말이나 일은 안전하게 하라는 뜻.19 닫는 말에 채찍질한다고 경상도까지 하루에 갈 것인가 : 부지런히 하고 있는 일을 더 잘하라고 무리하게 재촉한다고 일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는 뜻.20 둔한 말도 열흘 가면 천리를 간다 : 우둔한 사람이라도 꾸준하게 일을 하면 성공하게 된다는 뜻.21 둔한 말이 열 수레를 끈다 : 재주가 없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가 있다는 뜻.22 대감 죽은 데는 안가도 대감 말 죽은 데는 간다(대감 말이 죽었다면 먹던 밥을 밀쳐 놓고 가고 대감이 죽었다면 밥 다 먹고 간다): 권력이 있는 곳에 아첨한다는 세상인심을 비유23 뗏말에 망아지 : 여럿 속에 끼어 그럴듯하게 엄벙덤벙 지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 여럿의 틈에 끼어 뛰어다님을 이름.24 마른 말은 꼬리가 길다 : 마르고 여위면 같은 것이라도 더 길어 보임을 이르는 말 마방집이 망하려면 망아지만 들어온다는 뜻.25 말 갈 데 소 간다(말 가는 데 소도 간다, 소 갈 데 말 갈 데 가리지 않는다) : 남이 하는 일은 누구나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뜻.26 말 갈 데 소 갈 데 다 다녔다 : 온갖 곳을 다 다녔다는 말27 말 귀에 염불 : 아무리 말하여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말28 말 난 장에 소 :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장소에 끼어든 모습을 이름.29 말 밑으로 빠지는 것은 다 망아지다 : 근본은 절대로 변하지 않음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30 말 살에 쇠 살에 : 되는 소리 안 되는 소리를 함부로 지껄인다는 뜻.31 말 살에 쇠뼈다귀 : 피차간에 아무 관련성이 없이 얼토당토 않음을 이르는 말32 말 삼은 소 신이라 : 말이 삼은 소의 짚신이라는 뜻으로, 일이 뒤죽박죽되어 못쓰게 되었다는 말33 말 약 먹듯 한다 : 먹기 싫은 약을 억지로 먹듯이 무엇을 억지로 하게 함을 이르는 말34 말 잃고 외양간 고친다 :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 손을 쓴다는 뜻.35 말 위에 말을 얹는다 : 말 위에 말을 얹을만큼 욕심 많음을 이름.36 말 잡은 집에서 소금이 해자라 : 여럿이 말고기를 먹을 때 주인이 소금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생색없이 무언가를 제공한다는 뜻37 말 죽은 데 체장수 모이듯 : 남의 불행은 아랑곳없이 제 이익만 채운다는 뜻.38 말 죽은 밭에 까마귀같이 : 까맣게 모여 어지럽게 떠드는 모습을 이름.39 말 타고 꽃 구경 : 사물을 자세히 보지않고 겉으로만 대충 본다는 뜻.40 말 타면 경마(견마) 잡히고 싶다 : 사람의 욕심이란 한이 없다는 뜻.41 말 타면 종 두고싶다 : 사람의 욕심이 끝이 없다는 뜻.42 말 탄 양반 끄덕, 소 탄 녀석 끄덕 : 덩달아 남의 흉내를 낸다는 말43 말 태우고 버선 깁는다 ; 미리 준비를 해놓지 않아서 임박해서야 허둥지둥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44 말고기 자반 : 얼굴이 붉게 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45 말고기를 다 먹고 무슨 냄새난다고 한다: 제 욕심을 채우고 나서 쓸데없는 불평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름. 말에 대한 속담이 상당히 많고 재미난데, 이것은 말이 고대 한국인에게도 사람들과 함께 하는 친숙한 존재였다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말에 대한 속담을 통해 살펴보면, 예전의 중국이나 한국에서 말의 상징이 재산, 성공, 교통수단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06:46:46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