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마희(馬戱)는 서커스라고도 할 수 있는데, 역사가 아주 오래 되었다. 중국 고대 서한(西漢, BC 206년∼AD 24년) 환관(桓宽)의 《盐铁论》중에, 마희두호(马戏斗虎)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희가 이때에 이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희는 훈련된 말이 벌이는 일종의 서커스 공연으로, 아마도 기마병이 많은 그 때에 적합했던 놀이쯤으로 생각된다. 중국의 고대 마희와 오늘날 마희는 의미가 다르다. 고대 마희는 말을 길들이는 공연을 포함하여 말 위에서 하는 각종 기예를 말하는 반면, 오늘날 마희는 훈련된 여러 동물들의 공연의 대명사이다. 마희를 하는 말들에게는 화려하게 몸과 갈기를 장식한다. 아마 마희를 하는 말을 더 멋지게 보이게 하고자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쁘고 화려하게 장식한 말들이 훈련된 모습으로 대중 앞에서 공연을 하는 것이다. 당나라에 마희 공연은 이미 매우 높은 수준에 이르렀고, 그 중에서도 "투검문기(透剑门伎)"는 특히 멋졌다. 송나라에 이르러서는 마희 기예가 더욱 원숙해졌고 연기 기교도 훌륭하고 뛰어났다. 마희 공연을 할 때, 引马、立马、骗马、跳马、倒立、拖马、飞仙膊马、镫里藏身、赶马 등의 다양한 노력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공연을 보면, 초기의 마희는 주로 거의 말이 나와서 벌이는 서커스였다. 위의 자세들은 마희 공연 중에 보여지는 묘기 기술인데, 조선통신사의 마상재와 겹쳐지는 동작들이다. 아마도 조선통신사의 마상재는 중국의 마희에서 왔다고 볼 수 있다. 북송 때의《동경몽화록 (東京夢華錄, 중국 남송(南宋)시대 맹원로(孟元老)의 저서)》에 실린 내용을 참고로 마희 재주를 살펴보자. 1) 입마(立馬) : 기를 들고 말 위에 서는 동작2) 인마(引馬) : 맨 몸으로 말을 끌고 나오는 동작.3) 개도기(開道旗) : 말 위에서 기를 흔들며 나오는 동작4) 편마(騙馬) : 말에서 내렸다가, 안장을 손으로 잡고 다시 오르는 동작5) 도마(跳馬) : 손으로 등자 가죽을 잡고, 말 꼬리에서 뛰어 오르는 동작6) 헌안(獻鞍) : 안장에서 재빨리 내린 다음, 오른 발을 굽혀 말갈기에 거는 동시에, 왼발을 등자에 놓고 왼손으로 갈기를 잡는 동작7) 도립(倒立) : 말 뒤로 오르거나 두 손으로 등자 가죽을 잡고, 어깨를 안장에 붙이면서 물구나무를 서는 동작8) 타마(拖馬) : 발을 땅에 댄채 말과 함께 달리거나, 말 위로 오르는 동작9) 비선박마(飛仙膊馬) : 왼발을 등자에 놓은 채, 오른발을 등자에서 빼면서 안장에서 떨어져 몸을 옆으로 뉘거나, 안장 옆에서 오른손으로 안장 한 쪽을 잡으며, 왼손으로 갈기를 잡고 몸을 지탱하면서 한 쪽 다리를 뻗는 동작10) 등리장신(鐙裏藏身) : 안장 옆으로 몸을 굽혀 감추는 동작11) 간마(趕馬) : 오른쪽 어깨로 안장을 밀면서 다리를 땅에 끌며 말과 함께 달리는 동작12) 작진(綽塵) : 한 쪽 등자에서 발을 빼면서 몸을 뒤로 돌려 꼬리를 잡은 채, 손으로 땅의 흙을 움켜쥐는 동작13) 표자마(豹子馬) : 달리는 말 뒤로 따라 가면서, 꼬리를 잡고 말 위로 오르는 동작전국시대 조나라 왕 조무령왕(赵武灵王, 약 기원전340년—295년)은 부국강병을 위해 기원전 307년 중국내에서 중대한 군사개혁이 진행되었다. 사병에게 한복(漢服, 중국 전통 옷)의 長袍大褂(중국 전통 윗옷과 홑겹저고리)을 벗고, 호복(胡服, 호족의 복장)의 좁은 소매와 짧은 셔츠를 바꿔 입게 했다. 이것은 중원 지역에서의 단독 기병 전쟁이었다. 이것이 바로 역사상 유명한 `호복기사(胡服骑射, 전국(戰國)시대 조(趙)나라의 무령왕(武靈王)이 백성들에게 호복을 입고 말을 타고 활쏘기를 익히게 하여 강력한 기병 부대를 양성한 것을 이름)`이다. 그 후로 중원 각지에는 단독 기병 전쟁이 점차 생겼는데, 마희의 기원으로 중요한 조건이 되었다. 이러한 마희는 처음에는 말이 부리는 재주 중심에서 차츰 기수가 부리는 재주로 발전하게 된다. 그 후로, 여러 동물들이 함께 등장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기수가 부리는 재주의 내용을 보면, 조선통신사의 마상재 재주가 거의 포함된다. 마상재 재주에는 말 위에 서서 달리기, 말 등 넘나들기, 말 위에 거꾸로 서기, 말 위에 눕기, 말 옆구리에 몸 숨기기, 말 위에 뒤로 눕기, 쌍마(雙馬) 위에 서서 달리기 등이 있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06:02:1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