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부터는 ‘중국 고대 마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중국은 말의 역사가 아주 오래된 나라 중의 하나이다. 그만큼 말과 관계된 마구(馬具)도 발달하였음은 충분히 짐작할 만하다. 말을 좀더 편하고 효과적으로 타기 위해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나아가서는 도구를 좀더 아름답게 꾸며서 사용했던 것이다. 한국의 천마총의 마구와 중국 고대 마구를 비교해서 보면 마구에 대한 이해가 잘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의 ‘중국 고대 마구’에 대한 자료 번역을 통해 중국 고대 마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 신석기 시대의 제가(齐家) 문화 유적 중 말뼈가 출토되었는데, 그러나 당시 말을 어떻게 다루었는지는 상황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 상나라의 귀족들은 대부분 수레와 말을 함께 장사지냈는데, 마구의 자취를 찾을 수 있었다. 앞으로 3천여 년 동안 끊임없이 변천을 발전시켜, 아름답고 사용하기 쉬운 부품을 많이 설계하여 중국 전통 마구의 독특한 풍격을 형성하였다. 간단한 올가미를 제외하고는 가장 먼저 사용된 마구는 장식 끈이 최고이다. 하남 안양(河南安阳) 상묘(商墓)에서 구리칼자루 끝에 말머리가 주조된 장식 끈이 출토되었다. 이미 목대, 이마대, 콧대, 볼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위에 재갈(衔, 镳)은 보이지 않고, 형식은 비교적 원시적이다. 재갈(衔)은 말입 중의 재갈이다. 재갈(衔)의 그 두 끝에는 고리가 있고, 그 고리 바깥에 재갈과 고삐가 달려 있으며, 그 고리 가운데에 재갈(镳)이 관통해있다. 재갈(镳)은 물리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재갈과 고삐(辔)의 작용점이다. 함(衔, 재갈), 표(镳, 재갈), 络头(재갈의 장식 끈)과 비(辔, 고삐)를 같이 조합하면 말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상나라는 일반적으로 가죽으로 말의 재갈을 만들었다. 동재갈은 은허 서구역 1613번 마갱(马坑) 등지에서는 아주 적게 보인다. 그러나 상나라의 재갈은 구리를 많이 사용했다. 흔히 볼 수 있는 한 가지는 사각형으로, 구멍을 가지고 있고, 반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양쪽은 튜브 모양으로 되어 있다. ** 출처 : 中国人民革命军事博物馆(http://www.jb.mil.cn/yjcz_2226/gbtg/201707/t20170720_35591.html)**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3:29:2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