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서는 마(馬) 글자가 들어간 중국의 어휘들을 살펴보자. 중국의 말을 가리키는 어휘에 대해서는 설문해자에 나오는 마(馬)부수 글자를 통해 살펴본 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그 밖에 관련된 아주 풍부하고 다양한 마(馬)자 어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말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부터 말과 관련이 없는 마자 어휘 또한 적지 않다. 우선 사전에 나오는 어휘를 중심으로 그 뜻을 함께 알아보자. 1) 马上(마상) : 말 위라는 말인데, 뜻은 바로이다. 2) 小马(소마) : 한국은 망아지라는 어휘가 따로 있지만, 중국은 보통 앞에 소(小)자가 있으면 그 새끼를 뜻한다. 망아지라는 뜻이다. 3) 海马(해마) : 해마는 말이 닮아 붙은 어휘일까? 바다의 말인 해마이다. 4) 跑马(포마) : 말을 타고 달린다는 뜻인데, 경마를 가리키기도 한다. 5) 马匹(마필) : 말을 통칭하여 부를 때 마필이라고 한다. 6) 马蹄(마제) : 말발굽, 편자를 뜻한다. 7) 马鬃(마종) : 마렵, 말갈기이다. 8) 骒马(과마) : 암말을 뜻한다. 9) 立马(입마) : 말을 세우다라는 뜻으로 바로의 뜻이다. 10) 野马(야마) : 말의 일종(생김새가 일반 말과 비슷하여 꼬리털이 길고 숱이 많으며, 중국의 시베이(西北) 지역 및 몽골에 서식함), 거칠고 촌스러운 사람 또는 매우 대담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11) 马桶(마통) : 트기하게 변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12) 战马(전마) : 군마를 가리킨다. 13) 马蜂(마봉) : 벌을 가리키는 말이다. 14) 马甲(마갑) : 말의 갑옷을 가리킨다. 15) 马陆(마륙) : 노래기이다. 16) 马刀(마도) : 기병(騎兵)이 휴대하는 군도(軍刀), 말조개를 뜻한다. 보통 말과 상관없는데 마(馬)자가 들어가는 어휘는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17) 马镫(마등) : 말등자. 18) 马扎(마찰) : 휴대용 의자를 가리킨다. 19) 响马(향마) : 옛날 북방(北方)의 마적(馬賊). (그들이 약탈을 할 때는 먼저 ‘响箭(화살 날아가는 소리)’을 쏘아 기세를 올렸기 때문에 이렇게 불렀음) 20) 马褂(마괘) : 마고자. 마괘자. (옛날 남자들이 ‘长袍(chángpáo)’ 위에 입는 소매가 긴 앞섶을 포개어 여미지 않고 맞대어 끈 단추로 채운 짧은 상의로 주로 검은색임. 원래 만주족이 말을 탈 때 착용한 데서 온 말) 21) 马道(마도) : 옛날, 연병장(練兵場)이나 성벽 위로 말을 달릴 수 있게 닦은 길. 22) 马弁(마변) : 장교의 호위병 23) 马戏(마희) : 곡예, 서커스를 가리키는데, 초기의 곡예단에 말의 재주가 빠지지 않아 붙여진 어휘이다. 24) 遛马(류마) : 말을 끌고 천천히 산책하다. 25) 马贼(마적) : 단어 그대로 마적이다. 26) 头马(두마) : 우두머리 말을 가리킨다. 27) 马店(마점) : 마방. 마바리 객줏집. 행상이나 마부용의 숙박 시설 28) 马脚(마각) : 말의 다리를 뜻하지만, 엉큼한 속셈. 내막. 빈틈. 약점. 결함. 꼬리 등을 비유하기도 한다. 29) 纸马(지마) : 신상(神像)이 그려져 있는 종이, (제사 때 태우는) 종이로 만든 말·차·인형. 30) 驮马(태마) : 짐을 싣는 말 31) 辕马(원마) : 끌채를 매워 끌게 하는 말 32) 马趴(마팔) : 몸이 앞으로 엎어진[거꾸러진] 자세 33) 探马(탐마) : 기마정찰병 34) 马号(마호) : 마굿간, 옛날, 역참에서 역마를 기르던 곳. 35) 儿马(아마) : 숫말 36) 马架(마가) : 지게를 가리키고 움막. 초막. 방갈로. 작고 초라한 집을 가리킨다. 37) 趟马(쟁마) : 중국 전통극에서 말을 타고 (뛰어) 가는 동작의 연기. 38) 堕马(휴마) : 말에서 떨어지다. 낙마하다. 39) 马快(마쾌) : 포졸. 포리. 포도군사. (옛날 말을 타고 사건을 조사하거나 범인을 체포하던 관아의 나졸.) 40) 马竿(마간) : 맹인용 지팡이 41) 换马(환마) : 인원을 교체하다. (국가의) 수뇌를 교체하다라는 뜻의 폄하하는 말이다. 42) 马封(마봉) : 파발마로 보내던 공문 봉투 43) 外马(외마) : 외지인 44) 牝马(빈마) : 암말 45) 马刺(마자) : (승마 구두의 뒤축에 달려 있는) 박차. 사진은 장례식 때 지마(纸马)를 태우는 모습이다. 장례식이나 제사 때 종이로 만든 말·차(車)·인형을 태워 죽은 사람에게 바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직도 몇회 분량의 어휘가 남아있는데, 찾아볼수록 흥미가 생긴다. 그 중 몇몇 어휘들은 그 안에 있는 고사(古事)가 있는 어휘도 보인다. 어휘는 다음 호에도 계속된다. ** 사진 제공 : baidu.com** 필자 메이칭의 카페 : http://cafe.naver.com/orangewo8x5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3:19:53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