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직(蔭職)장양필(鄭良弼) 참판으로 추증된 대임의 아들. 벼슬은 주부 안전(安琠) 참봉 종경의 손자. 인조조에 여러번 낭서로 천거. 벼슬은 사헌부 감찰 이응삼(李應參) 영양군 대영의 뒤. 호는 만포. 효행이 순수하고 지극하여 고을과 이웃이 감화되었다. 벼슬은 예빈시 주부 정미도(鄭味道) 종윤의 아들. 재종숙 담의 문하에서 수업. 문장은 세상이 추중하였고 재주와 어짊으로 훈도로 천거됨 김극계(金克繼) 봉사 의남의 아들. 문학으로 이름남. 벼슬은 자여도 찰방 윤시형(尹是亨) 봉사 종선의 아들. 벼슬은 동중추장우평(張禹平) 부사 연의 손자. 통덕랑 장이해(張以楷) 삼옥당 진의 뒤.인조 갑자년 음직으로 후릉참봉. 병자호란 노모를 업고 하양 무학산에 숨었고 이로 인해 세거(世居)하였다 장한신(張漢臣) 삼옥당 진의 뒤. 인조조 벼슬이 사재감 참봉이며 자손들이 하양으로 옮겨 삶노철(盧喆) 지헌 기종의 아들. 벼슬은 청지중추부사 조의림(曺艤林) 임계 경온의 아들. 행의(行誼)로 벼슬이 통사랑. 병자호란에 창의 이삼(李森) 판관 상백의 아들. 배우기를 좋아하고 행실이 돈독함. 사용으로 제수되었지만 취임치 않았으며 선비와 벗들이 많았다 조여충(曺汝忠) 찰방 경화의 손자. 인조조 병술년 문학으로 선교랑을 제수 받고, 정해년에 성현찰방을 제수 조사임(曺士任) 임계 경온의 손자. 벼슬은 중추 겸 의금부사. 좌증지로 추증 조사경(曺士儆) 승지로 추증된 사임의 아우. 일찍이 문망(文望)이 있어 고산 찰방으로 천거 제수됨 이계근(李季根) 통정대부 현백의 아들. 북적(北翟)의 난리에 아버지의 명으로 창의하였고 이 일이 알려져 전연사 참봉으로 제수되고 후에 통정대부로 승진함 정호례(鄭好禮) 백암 의번의 아들. 효우함이 두텁고 신실하며 지극히 청백하여 이름이 났다. 아버지가 왜적에게 죽었기에 평생토록 일본 물건을 가까이 하지 않았다. 일찍이 남해 현감이 되어 추호라도 (백성들의 물건을)취하지 않았고, 고향으로 돌아옴에 행장 속에 쓸쓸하였으며 다만 치자 화분 하나만 있을 뿐이었다. 고을 사람들이 청덕비를 세워 그를 기렸으며, 어사가 장계로 보고하여 포상하여 직급이 올라갔으니(이 사실은)남구만의 계초(啓草)에 보인다.양시옥(楊時沃) 직장 사의 손자. 호는 경재. 시문(詩文)에 능하고 여러 번 향시(鄕試)에 합격하였다. 효행으로 천거되어 가선대부로 제수됨 정응숙(丁應叔) 관찰공 몽길의 뒤. 호는 경와. 배움은 넓고 행실은 높아 천거 되어 훈도가 되고 통례원 인의에 이름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00:11:25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d3388100@hanmail.net
다른기사보기
채널경북평생교육원, '디지털 사진 강좌' 개강
영천시, 6 25전쟁 제75주년 기념식 개최···참전유공자 희생과 헌신 기리며
영천에서 2025년 국가유산지킴이날 기념식 및 홍보행사 열려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칼럼] 선출직 공직자들이 알아야 하는 것을 다시 상기시킨다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데스크칼럼] 잠시 멈춰서는 트럼프 관세, 그 다음은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에도 공무원 사칭 ‘노쇼 사기’ 빈번
영천시, 한방신활력플러스센터 개관···'한방에 놀자' 주제 플리마켓 진행
[사설] 청제비 국보 지정에 붙여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94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감나무
영양지(70)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
[풍수연재] 원균 장군의 묘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