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격업소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고 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착한가격업소’가 정부와 지 방자치단체로부터 지원받았던 다양한 혜택이 물가 인 상으로 상대적으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며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물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 쟁 여파 등으로 유례없이 치솟고 있다. 게다가 지자체의 지원은 최근 계속 그 자리다. 이 상태라면 더 버티지 못 하고 착한가격업소라는 명패를 뗄 가게들이 속출할 듯 하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더라도 월급 빼고 모든 물가가 다락 같이 올랐다는 것을 실감한다. 이런 판국이니 착한 가격업소들도 더는 못버티고 속속 사라지는 현상을 탓 할 수만은 없다.지금이야말로 행정이 탄력성을 발휘해 착한가격업소 지원을 신속히 강화해야 할 때다. 때마침 집행기관이 지원 조례를 발의했고 영천시의회가 제224 회 임시회 제7차 본회의에서 동의해 심의 의결했다. 외식업 이미용업 빵집 등 개인서비스업종인 착한가 격업소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인근 점포들보다 저 렴한 가격에 위생·청결 상태도 양호하게 유지하고, 서 비스 질도 높이려 애써온 업소들이다. 업주들이 자부심 을 가지고 운영하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뒷받침을 강화 해도 시원치 않지만, 착한가격업소 제도의 허점은 진작 부터 지적되어 왔다. 2011년 제도가 도입된 이후에도 인건비와 점포 임대료는 지속적으로 올랐고, 상대적으 로 업소에 대한 지원책은 턱없이 모자란데다 홍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착한가격업소는 코 로나19 상황에서도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며 버텨왔다 고 말할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다.하지만 올 들어 갑자기 물가가 급상승하면서 착한가 격업소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원재료 가격부터 줄줄이 올라 평균의 낮은 가격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내몰 려 있다. 그런 판에 지자체의 지원은 오히려 줄어 들었 다. 지자체가 코로나19 예산을 이유로 지원액을 대폭 삭감한 탓이다. 영천시의 경우 2년 전 2300만원이던 착 한가격업소 지원 예산이 올해는 875만원으로 쪼그라들 었다. 시내 13곳의 정해진 착한가격업소에 종량제 쓰레 기봉투 정도 나눠주면 없어질 예산에 불과하다. 경북도 내 다른 시군도 사정이 엇비슷한 듯하다. 어려울 때일수록 발 빠르게 착한가격업소 지원을 확 대하는 행정의 순발력이 필요하다. 지자체뿐만이 아니 라 착한가격업소 제도를 주관하는 행정안전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착한가격업소가 낮은 가격, 깨끗한 위생기준, 높은 서 비스 수준을 잃지 않고 버텨낼 수 있게 행·재정적 인센 티브 강화 방안을 서둘러 도입하는 한편 물가고에 시달 리는 지역 소비자들이 이들 업소에 관한 정보를 더 쉽 게 파악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빠르면 빠 를수록 좋다. 그런 일들이 진정한 착한가격 조성 분위기 확산이요, 물가안정 시책 동참을 유발하는 길이다. 이런 지원 제도를 통해 행정은 동참하는 업소의 자긍심을 올 려주고 서민경제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