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문을 열 예정인 영천시 거점형 통합돌봄시설 ‘영천아이행복센터(이하 센터)’가 구조적 문제로 이용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수십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공공 돌봄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진출입 동선과 주차 편의 등 기본적인 접근성조차 제대로 고려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센터의 설립목적은 아동 돌봄 사각지대 해소가 목적이지만, 실질적인 이용자인 유아·초등학생과 그 보호자의 이동상의 안전과 편의성이 설계 과정에서 소홀히 다뤄졌다는 비판이 제기된다.이 센터의 보행자 출입구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차량의 주출입문은 건물 뒤편 폭이 좁고 불법 주차가 상시적인 이면도로에 접해 있다.실제 이 도로는 평소 가뜩이나 좁은 도로에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고, 바로 이웃한 곳에 경로당마저 있어 유모차나 휠체어는 물론 어린이 통학 차량의 접근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주민 A씨(여, 40대)는 “아이를 데리고 걷기도 위험한 도로에 입구를 낸 게 이해되지 않는다”며 “아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시설인데, 설계 기준이 행정 편의를 우선시한 설계라고 볼 수밖에 없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지상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진입로는 차선이 단일차로로 구성돼 차량 교행이 불가능하며 출퇴근 시간이나 프로그램 종료 시 혼잡이 우려된다.또 차량 진입로 입구에 설치된 석재 턱 구조가 사각으로 마감돼 타이어 손상의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실제로 센터 주변 정비소 관계자는 “테스트 주행 중 차량 휠이 손상된 사례가 있다”며 “설계 시 완충 곡선이나 진입 턱 완화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전형적인 ‘책상 위 행정’”이라고 꼬집었다.지하주차장 진입로 역시 문제다. 진입 반경이 지나치게 좁아 회전 각도가 충분하지 않고, 대형 차량의 경우는 여러 번 후진과 전진을 반복해야만 진출입이 가능한 구조다. 특히 보호자 동반 차량 이용이 대부분인 돌봄시설 특성상, 양방향 상시적인 교행불가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도심지 설계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복합 돌봄시설의 핵심 대상이 유아·초등생과 여성 보호자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명백한 계획상 과실이라는 비판이다.영천시는 센터 건립 취지를 “지역 아동의 돌봄 안전망을 통합 구축”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접근성 측면에서는 아이를 동반한 이동 시 돌봄을 받으러 가기도 어려운 시설이라는 평가가 뒤따른다.지역 복지전문가들은 “시설의 본질은 ‘이용자 중심성’이다. 물리적 접근부터가 불편하고 위협적인 공간이라면, 그 안의 모든 프로그램이 무의미해진다”며 “거점형이라는 이름에만 치우쳐 시민 생활권 안에서의 실질적 활용성을 도외시한 탁상행정의 대표적 사례”라고 비판했다.행정은 돌봄정책의 핵심 수혜자를 기준으로 설계해야 하나 현실의 영천아이행복센터는 ‘아이의 이동권’과 ‘보호자의 접근성’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조차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시 관계자는 “진출입로를 확보하기 위해 부지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민 의견을 지속 반영해 유연하게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우애자 영천시의원은 “이용자의 편의를 외면한 탁상 위 행정계획, 형식적인 의견 수렴 등으로 건물 완공단계에서야 부지를 확보하려는 것은 또다른 예산 낭비의 전형이 아닐 수 없다”며 “설계단계에서부터 실질적인 모니터링과 의견 수렴이 반드시 동반됐어야 했다”고 강조했다.한편 센터는 2018년부터 시작된 완산동 도시재생뉴딜사업(중심시가지형)의 일환으로 95억7200만원의 예산으로 조성되며 지하 1층, 지상 4층의 규모에 1층 주민운영카페를 제외한 2~4층에는 다함께 돌봄센터와 장난감도서관, 영천시가족센터, 공동육아나눔터, 아픈아이긴급돌봄센터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최병식 기자
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8-08 02:02:09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동정
이 사람
데스크 칼럼
가장 많이 본 뉴스
상호: 경북동부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천시 최무선로 280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264 / 등록일 : 2003-06-10
발행인: 김형산 / 편집인: 양보운 / 청소년보호책임자 : 양보운 / 편집국장: 최병식 / 논설주간 조충래
mail: d3388100@hanmail.net / Tel: 054-338-8100 / Fax : 054-338-8130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