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는 경남 양산시 하북면 영취산 자락에 위치한 한국불교의 대표적 거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와 가사(袈裟), 대장경 등을 금강계단에 봉안하고 창건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안치된 적멸보궁이 있어 불보사찰이라고 하며 이 때문에 대웅전에 불상이 없는 사찰로도 유명하다. 통도사는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해 통도사로 이름 지었고, 신라시대에는 모든 승려들이 통도사 금강계단에 와서 계를 받았으며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곳의 금강계단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양산의 통도사, 합천의 해인사, 순천의 송광사를 3보(三寶) 사찰이라 부르고 있다.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있어 불보(佛寶)사찰이라 부르고, 해인사는 부처님 진리의 말씀을 담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어 법보(法寶)사찰, 송광사는 명승을 많이 배출하고 그 영정을 모시고 있다 하여 승보(僧寶)사찰이라 부른다.통도사의 전체적인 풍수 입지는 낙동정맥에서 남동쪽으로 하나의 지맥을 뻗어 영남의 알프스라 할 수 있는 영축산에 이르고 여기서 양팔을 벌려 통도사를 감싸주고 있다. 사찰은 영축산에서 왼쪽으로 출맥한 청룡 자락에서 남동쪽으로 지현굴곡을 하며 내려와 경사가 완만해지는 용진처(龍盡處)에 자리하고 있어 지기가 왕성한 곳이다. 우측으 로 뻗어 나간 백호 자락은 남쪽, 남동쪽, 동북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사찰의 앞면을 완전히 감싸주고 사찰 앞 계곡천을 만나면서 그 행로를 마쳤다. 영축산에서 뻗어 내린 청룡과 백호는 본신 용맥으로 사찰 내부 전체에 장풍국(藏風局)을 만들어 주니 통도사 경내에는 늘 생기가 가득하다. 건물의 가람배치는 지세를 거스르지 않고 계곡을 따라 동서로 길게 배치하였으며 주요 건물들은 계곡을 향해 남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원칙을 따랐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입구가 낮고 안쪽이 높은 전저후고(前低後高)의 조건과 더불어 청룡·백호의 끝자락이 관쇄되어 전착후관(前窄後寬)의 조건까지 양택의 3요결을 모두 갖춘 양택적 길지다. 통도사는 지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잘 이용하여 가람을 조성하였는바 지면이 약간씩 높아지면서 대웅전으로 진입하는 준비 공간을 만들어 주고 있다. 이렇게 진입 공간에서부터 여러 과정을 거쳐 주 공간에 이르는 공간 배치 방법은 부처의 세계로 상징되는 예불 공간의 성스러움과 신비로움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치 방법이다. 이곳의 수세는 백호자락 안쪽에서 흘러드는 물줄기가 사찰 앞에서 합수하여 양산천으로 흘러 들어간다. 수구에는 부채를 펼친 듯한 선자(扇子) 바위가 우뚝 서 있고 군데군데 각종 수구사들이 있어 유속을 늦추어 주니 사찰 안쪽의 생기를 잘 갈무리 해 준다. 이러한 길지에 자리 잡은 통도사는 자장율사가 중국의 당나라 유학 당시 중국 풍 수를 배워왔고, 그의 해박한 풍수적 논리가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