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1:18:28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4-30 오후 03:35:45
출력 :
10개
20개
30개
[사설] 스스로 시민 비난 부르는 영천문화원
최근 영천문화원이 상식에 맞지않고,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업무처리로 문화원 내외부로부터 다시 구설에 오르고 있다. 먼저 앞서 신입회원 가입을 받지않아 물의를 일으켰다. 문화원 회원가입은 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오피니언] 엄마 쑥떡
울 엄마는 이맘쯤 외할매 묘소 잡초를 뽑고 쑥을 뜯어와 다듬어서는 하룻밤 불린 쌀을 한 보자기에 싸 머리에 이고 시내 방앗간으로 간다. 가서 엄마처럼 쑥떡 하러 나온 다른 동네 할매들이랑 방앗간 평상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풍수연재 ] 고종과 순종의 홍·유릉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번지에 가면 조선조 마지막 임금의 무덤인 홍릉과 유릉이 있다. 홍릉은 제 26대 고종(1852~1919)과 고종의 비(妃) 명성황후의 합장릉이고 유릉은 27대 마지막 임금..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살다보면 아무리 죄짓고 살지 않았다 하더라도 마음속에 스며든 혼란으로 인해 무엇이 정법인지, 무엇이 행해야 하는 일인지 판단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바른 법을 모르고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기 고] 공사장 용접·용단 작업 화재예방수칙
최근 경북지역에 발생하는 화재통계에 따르면 용접·용단 등 불티가 발생하는 작업으로 인한 화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다고 무시했던 작은 불티로 인명,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소방청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우리동네 스타강사] 앙재반 임점선 강사
“옷에 관심이 있고 만들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영천 평생학습관을 방문해주세요.” 임점선 천연염색 강사는 “천연염색 기술을 배우면 나만의 개성있는 옷을 직접 제작해서 입을 수 있을 뿐만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07
70. 次廣寒樓1)韻(차광한루운) 광한루 시에 차운하여 名勝湖南第一樓(명승호남제일루) 廣寒獨檀壓淸流2)(광한독단압청류) 千年往代君王地(천년왕대군왕지) 六月薰風..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자선(慈善) 최호(崔灝) 경주인. 한천 인의 증손. 수직으로 통정(대부) 권사원(權士源) 익형의 손자. 수직으로 통정(대부) 권한병(權漢秉) 지평 열의 뒤. 수직으로 통정(대부) 이정영(李廷榮)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사설] 완산동 고분군 사업,지금부터 시작이다
과거부터 교통의 중심지라 불리는 영천은 수많은 문화유산이 산재해 있는 도시다. 그 중에서도 영천역사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역사적 가치를 지닌 완산동 쇠느리 일원의 고분군이 우리의 관심부족과 방치로 인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오피니언] 정작 김광석은 좋아할까
새해 들어 김광석 열풍이 만만찮은 모양이다. 김광석을 모티브로 한 뮤지컬이 내리 세 작품이 무대에 오르는가 하면, 대구 방천시장에 조성된 김광석 길은 전국의 인파로 들썩인다는 소식이다. 그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풍수연재] 사도세자의 융릉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가면 조선조 21대 영조의 둘째아들이고 22대 정조대왕의 생부인 사도세자(1735~1762)의 능이 있다. 사도세자가 처음 묻힌 장지는 원래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에 위치한 배봉산(..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이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큽니다. 부처님께서 이 이야기를 인생에 비유하여 말씀하신 것은 사나이가 모든 중생들과 같기 때문입니다. 코끼리는 유한한 생명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고..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26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06
天下遺民2)雨此時(천하유민우차시) 萬生歡喜竟無違(만생환희경무위) 渴川今滿能灌野(갈천금만능관야) 枯苗還生可有枝(고묘환생가유지) 農老前村相慶賀3)(농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자선(慈善) 이관현(李觀鉉) 대암 희백의 뒤. 호는 기옹. 문학을 일찍 이루고 맑은 몸가짐과 아름다운 행실은 사우(士友)들이 추중하였다. 나이가 많음으로 부호군에 제수됨 양경수(楊慶秀) 참판 효지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사설] 이상기후, 자연에 대한 관심 절실하다
봄철이 되고 들녘에 꽃이 피면 벌들이 앵앵거리며 꿀을 모으러 다닌다. 벌들은 꿀을 모으기도 하지만 자기 몸에 꽃가루를 묻혀 꽃의 자연 수분을 돕는다. 이런 벌들 중에서 우리가 직접 키우는 꿀벌들이 아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오피니언] 착한증후군 사회
어제 A어린이집 앱 알림장에 <도덕적 감수성에 대하여>를 올린 것은 오전 7시 50분이었다. 어린이집은 해당 글이 올라가자마자 긴급회의를 열었다고 한다. 1시간 30분 동안 원장, 작년 원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풍수연재] 청주한씨 중시조 한란(韓蘭)의 묘
충북 청원군 남일면 가산리 산 18번지에 가면 청주한씨 중시조 한란(853~916)의 묘가 있다. 한란은 고려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징벌하려고 그의 집을 거쳐 지날 때 집 앞의 우물물을 떠서 식수로 공..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특히 언제 죽을지도 모르면서 당장 눈앞에 즐거운 일이 있거나 맛보고 싶은 쾌락이 있으면 그것에 마음쏠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또한 무엇인가 갖고 싶은 욕심이 생기면 어떤 인생을 사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9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05
66. 木(목극) 나막신 雙齒高懸壽爾年(쌍치고현수이년) 泥程1)戴我善趨前 (이정대아선추전) 虛心2)守足形相若 (허심수족형상약) 仰鼻圓脣勢自然 (앙비원순세자연)..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2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자선(慈善) 김경란(金景鸞) 경주인. 첨사 은의 뒤. 인조조 수직으로 부호군 조홍훈(趙弘勳) 호는 서고. 봉사 종악의 아들. 문사(文詞)가 넉넉하고 넓었다. 수직으로 가선(대부) 이립(李砬) 주부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4월 12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종이 신문을 만든다는 것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데스크칼럼] 사람의 인성이나 성품에 관하여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장애인의 날 기념식 및 체육대회
최무선의 꿈을 잇다, 2025 최무선과학꿈잔치
쿠잉베리&채널경북, 영천희망원 딸기농장 체험
최무선 장군 탄신 700주년 기념추모제
[사설]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88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동회
영양지(64)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