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5:12:4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4-30 오후 03:35:45
출력 :
10개
20개
30개
특별기고 - 횡계구곡과 횡계구곡 시(詩) 1
영천은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한 유서 깊은 고을로 동쪽으로 경주시와 포항시, 서쪽으로 경산시와 대구시, 남쪽으로 청도군, 북쪽으로 청송군 및 군위군과 접하고 있다. 영천은 산지가 69%를 차지하는 산악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1월 26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7
충효재에 위패단을 제작하여 3천여 의사 중에 470여 분의 위패를 모신다. 이름조차 없는 분들은 하나의 위패에 모실 수밖에 없다. 충효재는 1933년 일제 치하에서 산남의진 정환직․용기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0월 14일
“자원봉사는 특별한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닙니다”
스스로 원해서 봉사하는 것이 자원봉사다. 자원봉사활동을 열심히 하는 사람을 만나면 고개가 저절로 숙여진다. 자신의 생업은 제쳐두고 돈도 안되는 자원봉사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이런 마음자세의 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0월 14일
직장인 출신으로 교수의 꿈을 이루다
현재 하는 일에 전문성을 쌓아 학위도 따서 교수가 되겠다는 꿈을 가진 사람이 많다. 얼마나 실현 가능한 일이고, 또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 일일까. 직장인 출신으로 교수의 꿈을 이룬 한국폴리텍대학..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0월 14일
공자와 충서(忠恕)
지금으로부터 약2,500년 전 공자학단에서는 수업이 한창이었다. 이때는 공자가 14년간에 걸친 천하주유가 끝나 고국인 노나라 곡부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을 때였으니 나이는 일흔에 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10월 03일
임란영천성수복대첩과 역사문화콘텐츠
관광은 오늘날 모든 지자체들이 주요 생존전략으로 표방하고 있는 사업분야의 하나이다. 그런데 소위 관광선진국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 그들의 삶의 흔적이랄까 연속성을 잘 보존하고 있는 나라들이다. 건축이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08월 22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 19
중국 명인들의 말사랑 이야기를 한 김에 이번에는《사기·골계열전(史记·滑稽列传)》에 나오는 내용을 통해 초나라 장왕(楚庄王, 기원전 614~591년 재위)의 말사랑 이야기를 해보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02월 07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 18
오늘은 말의 이름에 관한 이야기를 알아보려고 한다. 고대부터 기록된 자료를 통해 본 말 이름에 관한 이야기인데, 아주 흥미로우리라 생각된다. 고대의 말에 대한 기록은 중국의 주나라(周, 기원전 10세기경..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02월 07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 17
고대에는 전쟁이 중요했고, 전쟁만큼 말 또한 아주 필요한 것이었다. 그 광대한 대륙에서의 전쟁에서 말이 필수이며 중요한 것이라는 것은 진시황의 병마용갱이나 중국 고대 배경의 영화를 보면 쉽게 짐작할 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02월 07일
[이규화칼럼]영천의 표층과 심층
‘캬~악, 퉷’이 가래침 내뱉는 소리에 그 동안 얼마나 소름칠 정도로 불쾌해 했던가? ‘도대체 언제까지 이 사람들과 함께 공간을 공유하며 살아가야 하나?’며 절망했던 적은 또 얼마나 많았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9년 01월 25일
[기고]산남의진 열전(山南義陣 列傳)3
대아(大我)를 위하여 소아(小我)를 버리고 오직 목숨과 몸을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바쳤을 때를 가리켜서 대의(大義)라고 하는 것이다. 무량수(無量數)의 군성(群星) 가운데 혜성처럼 번쩍이는 사람만이 역..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2월 05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6)
산동성에 가면 卧马庄村(산동성 新泰市谷里镇) 서쪽 끝에 큰 토산이 하나 있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땅바닥에 누워 있는 말 같아서 “土马..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1월 28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5)
말과 관련된 몽골의 전통 악기인 마두금(馬頭琴, морин хуур(몽골어), 마토친)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먼저, 마두금의 모양을 보면 두 개의 현을 가졌으며 머리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1월 22일
[이규화 칼럼]-임란 영천성 수복 대첩,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배워야 하나?
이런 장쾌한 승리는 역사상 보기가 드물다.‘성을 포위하여 화공으로 공격하니 왜군들이 불에 타고 물에 빠져 죽은 자가 무수히 많았으며, 거두어 들인 적의 수급만 517과에 달했다.’ ‘1,000 여명..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1월 15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3)
개주성(盖州城, 가이저우, 랴오닝(遼寧)성 하이청(海城)현 서남부의 도시) 동쪽 8리 정도에 크지도 않고 작지도 않은 산골이 있는데, 사람들은 호두마욕(虎斗馬峪)라고 부른다.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1월 15일
[데스크 칼럼]-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가?
지난달 열린 영천시의회 제195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의에서 조영제의원이 한 발언중에 생각나는 것이 있다. 김영석 전임 시장이 어느 지방신문과의 퇴임 직전 인터뷰에서 미래 100년 먹거리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1월 15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4)
【露马脚】는 ‘탄로 나다. 정체를 드러내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부주의로 원형이 드러나는 것을 露马脚(로마교)라 부른다. 그러면, 露马脚라는 말은 어떻게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0월 25일
[데스크 칼럼]-갈등을 해결하는 방법
세상 살아 가면서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사람들은 서로 다른 환경속에서 독특한 문화와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왔고 또 살고 있다. 따라서 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진 것..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0월 17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2)
앞서 말했듯이 중국에서의 말은 농사용으로 이용되고 교통수단으로 이용되며 식용으로도 이용되기도 했던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아주 밀접하게 함께 지냈던 가축이었다. 또한 신마(神馬)나 비마(飛..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10월 04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1)
중국에서도 한국과 같이 십이지 즉 해마다 그 해의 동물로 띠를 나타내는데, 한국과 중국은 같은 십이지를 나타낸다. 동물로 한해를 대표하는 것이 재미있는데, 말이 띠 동물로 된 중국 이야기..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18년 09월 19일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종이 신문을 만든다는 것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데스크칼럼] 사람의 인성이나 성품에 관하여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장애인의 날 기념식 및 체육대회
최무선의 꿈을 잇다, 2025 최무선과학꿈잔치
쿠잉베리&채널경북, 영천희망원 딸기농장 체험
최무선 장군 탄신 700주년 기념추모제
[사설]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88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동회
영양지(64)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