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20:08:09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7-02 오후 05:53:26
출력 :
10개
20개
30개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24일
[기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50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⑮의병전쟁이 장기전으로 돌입하자1909년 5월 한국을 병합하기로 결정한 일제는 전쟁을 하루속히 종식시킬 필요를 느꼈다. 그 일환으로 일제는 같은 해 9월 이른바 남..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19일
메이칭의 음식 이야기 (142)
계속해서 중국술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발효주를 비롯해서 희석식 증류주, 양조주 등의 술의 종류가 엄청나게 많다. 중국의 10대 명주로는 수정방(水井坊),국교1573(国&..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19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19일
[기고]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49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⑭ 군사장 허위의 작전 계획에 따르면, 일본군의 방위망을 뚫기 위하여각 군이 분산 진격하여 동대문 밖에서 집결, 성내로 진격하여 들어가기로 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일부 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10일
[종합]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10일
[기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48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⑬ 나. 제2차 의병전쟁 제2차 의병전쟁은 일명 을사의병·정미의병이라고도 한다. 제2차 의병전쟁은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 또다시 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2월 09일
[기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45
2. 의병(義兵)의 역사 2) 임진왜란과 의병곽재우와 더불어 경상우도에서 활약이 컸던 인물로 김면과 정인홍을 들 수 있다. 김면은 처음에 고령에서 의병을 일으키려 하였다. 그러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1월 04일
[기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44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⑨ 2. 의병(義兵)의 역사 2) 임진왜란과 의병 가. 신분 구성의병의 신분은 양반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퍼져 있어, 의병 활동을 벌이는 기간에는 계급이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21일
메이칭의 음식 이야기 (136)
한국에서 널리 알려진 롱징차(龙井茶, 용정차)에 대해 알아보자. 명대 까오리엔(高濂, 1573-1620, 명대 희곡작가)이 《四时幽尝录..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13일
산남의진역사 42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⑦ 3) 서구 열강이 시기에 유럽 내에서는 불안한 평화가 유지되고 유럽 밖에서는 식민지 쟁탈전이 벌어졌다. 1871~1914년의 기간은 유럽에서는 평화의 시대였으나 유럽 밖..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6일
메이칭의 음식 이야기(135)
중국에서 만두 전문점에 가보면 이태리 식초 발사믹 같은 검은색 식초가 있는데, 중국에서도 투명한 식초보다 검은색 식초를 많이 먹는다. 특히 산서성은 검은색 식초 생산지로 유명하며 산서성의 농촌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6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41
산남창의지 해제(解題) ⑥2) 일본그렇게 나라는 영원히 내 나라려니 하며 권력다툼에만 눈 먼 시절에 일본은 세계열강이 되려는 용트림을 하고 있었다. 소위 메이지 유신이 그것이다. 메이지 유신의 과정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5일
메이칭의 음식 이야기 (134)
< 메이칭의 음식 이야기 134 >지난호부터 장쑤(江蘇)성의 후에이안(淮安)의 간식인 후아이안차싼(淮安茶馓)를 소개하고 있다. 중국의 장수성으로 여행한다면 그곳의 특산품인 후아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5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도대체 성적이 요즘 이 모양이니? 공부를 하는 거야? 안하는 거야? 이러하다가 너 대학도 못가고 빌어먹겠다.공납금 마련하느라고 이 부모는 이렇게 고생하는데 도대체 학생이 공부 안하고 뭐하는 거야?”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5일
[우리 동장님 최고야!]김성현 중앙동장
영천시는 16개 읍면동(읍사무소 1개, 면사무소 10개, 동사무소가 5개)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공서이다. 읍·면·동사무소는 풀뿌리민주주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한다. 요즘 이들 관공서마다 이색적인 면도 많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10월 01일
[우리 면장님 최고야]윤동훈 북안면장
영천시는 16개 읍면동(읍사무소 1개, 면사무소 10개, 동사무소가 5개)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공서이다. 읍·면·동사무소는 풀뿌리민주주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한다. 요즘 이들 관공서마다 이색적인 면도 많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9월 15일
[우리 면장님이 최고야~]이종흥 자양면장
영천시는 16개 읍면동(읍사무소 1개, 면사무소 10개, 동사무소가 5개)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공서이다. 읍·면·동사무소는 풀뿌리민주주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한다. 요즘 이들 관공서마다 이색적인 면도 많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9월 02일
[우리 면장님이 최고야~!]양광환 청통면장
영천시는 16개 읍면동(읍사무소 1개, 면사무소 10개, 동사무소가 5개)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공서이다. 읍·면·동사무소는 풀뿌리민주주의 시작이자 끝이라고한다. 요즘 이들 관공서마다 이색적인 면도 많아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8월 27일
[우리 면장님 최고야~!]엄동식 화북면장
영천시는 16개 읍면동(읍사무소 1개, 면사무소 10개, 동사무소가 5개)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공서이다. 읍·면·동사무소는 풀뿌리민주주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한다. 요즘 이들 관공서마다 이색적인 면도 많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8월 19일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계속 이대로 살아도 좋습니까
[데스크칼럼] 선출직 공직자들이 알아야 하는 것을 다시 상기시킨다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에도 공무원 사칭 ‘노쇼 사기’ 빈번
영천시, 한방신활력플러스센터 개관···'한방에 놀자' 주제 플리마켓 진행
[사설] 청제비 국보 지정에 붙여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94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감나무
영양지(70)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
[풍수연재] 원균 장군의 묘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