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8-21 04:37:38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연재·소설
연재·소설
최종편집 : 2025-08-20 오후 01:48:31
출력 :
10개
20개
30개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204)
범 무서운 줄 모르고 덤빈 하룻강아지에게 목숨을 부지하려고 아등바등하는 자신이 갑자기 부끄럽게 느껴졌다. 창고 문을 열지 못하게 받쳐놓은 곡괭이와 손에 쥔 야구 방망이까지 여차하면 휘두를 수 있는 무기..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5일
[인생상담론]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1)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의 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5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3)
이번 호부터는 중국의 말에 관한 동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중국은 말과 함께 한 역사가 한국에 비해 길고 게다가 생활에서 필수적인 동물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인지 말에 관한 이야기 또한 풍성하며 재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고깔을 쓴다(203)
이미 그들은 자신의 영토에 허락 없이 들어온 침입자로 간주하고 더욱 맹렬하게 이빨을 드러내고 있었다. 은영이가 쥐어준 야구방망이로 덩치가 황소만한 두 마리 도사견을 내쫒거나, 때려잡는다는 것은 거의 기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풍수연재(210)-풍수 연재를 마치면서…
필자의 풍수여정 중 경북 동부신문사와 함께한 6년이란 기간은 풍수 학인으로서 큰 행운이었다. 2015년 1월에 첫 회를 시작하였고 마지막이 2021년 1월이니 정확하게 6년이란 기간이 흘렀으며 회수로는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2)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고깔을 쓴다(202)
낚싯배 선주가 포구에서 마중 나와 있었다. 우리가 싣고 간 생필품을 옮겨 담으며 걸걸한 목소리로 농담까지 곁들였다. “두 분의 꿈이 야물딱집니다 그려. 갈 때는 두 사람, 올 때는 세 사람이 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풍수연재(209)-천기(天氣)와 지기(地氣)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공간에는 기(氣)로 가득 채워져 있다. 이러한 기의 발생은 하늘에서 만들어지는 천기와 땅에서 발생하는 지기가 있다. 풍수에서는 이러한 기운들을 잘 다스려 생전에는 인간생활에 건강한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1)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고깔을 쓴다(201)
삼국시대에 제주도에 있던 탐라국에서 오직 탐난다는 마음을 담은, 탐나국으로 은영의 섬 이름이 최종 낙착되었다. 첫 관문의 난제가 풀리자 왠지 신바람이 났다. ‘일상으로의 초대’ 노랫말이 흥얼거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풍수연재(208)-청송의 만석꾼 심 부자
조선시대 중 후반 청송의 심부자댁은 ‘富不三代’란 우리나라 속담을 비웃기라도 하듯 9대 250여 년 동안이나 만석의 부를 누렸고 마지막 일제강점기에는 2만석에 가까운 수확으로 재산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0)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고깔을 쓴다(200)
은영은 내 앞에서 옷을 벗었고 옷을 입었다. 그 스스럼없음이 이불속에 있는 내게 아늑함으로 다가왔다. 그만큼 서로를 의식하지 않는 거리감이 한사람에 대한 분명한 신뢰로 자리매김 되었다. 편해진 따뜻한 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풍수연재(207)-청송 심부자와 송소고택
청송의 심부자는 15세기 초 심원부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전한다.현재 송소고택을 지키고 있는 종손 심재오씨에 따르면 원래 청송 덕천리에 터를 잡았으나 부를 이룬 심처대가 분가하면서 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풍수연재(206)-안동 하회마을
안동의 하회마을은 물이 마을을 휘감아 돈다고 하여 하회(河回)마을이라 불렀다. 강 건너 부용대에 올라보면 마을 전체를 조망할 수가 있는데, 물길은 S字 모양의 태극문양과 같고 풍수형국으론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고깔을 쓴다(199)
은영은 ‘작은 찻집’으로 돌아왔다. 꿈꾼 세상을 모두 펼쳐 보여 준 뒤 그녀는 부쩍 말이 없어졌다. 나도 말없이 기다려주었다. 왠지 그래야만 될 것 같았다. 찻집은 문을 열지 않았다. 셔터가 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98)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풍수연재(205) - 경주 양동마을
최근 많은 시민들이 풍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6년 1월부터 우리 향토출신 풍수지리 전문가 양삼열(楊三烈)교수의 글을 연재한다. 이 글을 통해 올바로 정립된 풍수학문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1월 26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97)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1월 26일
고깔을 쓴다(198)
자드락길을 따라 걸었다. 길 끝에는 등대가 마중 나와 있다고 했다. 굴곡지게 살아온 삶에 둥글둥글한 살이 붙은 여유가 느껴졌다. 먼 지평선이 그랬고 갈매기가 그랬고 파도가 그랬고 백사장과 갯벌이 그랬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1월 26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갑질, 모두의 각성으로 사라지게 해야
[데스크 칼럼] 새옷 예쁘고 좋지요
[데스크칼럼] 경제 초보라도 이것만은 알아야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2025년 경찰청장기 전국단체대항태권도대회 개최
[데스크 칼럼] 새옷 예쁘고 좋지요
[영천문화유산 재발견] 영천역사박물관이 ‘일본에서 찾아온 은해사 사진’..
[특집] “재활용 넘어 환경보호와 사회적 가치실현에 사명감 느낀다”
경북도교육청정보센터, 학교통합 누리집 운영자 역량 강화 연수 시행
道·경주시·포스코 맞손
경북도의회, 동해안 관광벨트 활성화 조례 제정
경북도, 내년도 국비 확보 총력전
국민체육센터 개관… 건강한 일상과 폭넓은 여가생활
‘훈지수양선생유품’ 영천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예고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