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7-02 02:04:21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연재·소설
연재·소설
최종편집 : 2025-06-26 오후 04:18:37
출력 :
10개
20개
30개
[인생상담론]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2)
하지만 지금은 모든것이 절박한 상태입니다.언젠가 말씀드린 적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모든 것이 끝장이라고 생각하고 절망하며 살던 사람이 희망을 갖게 된 일이 있습니다. 그 얘기를 먼저 해드리지요.쉰두 살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7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4)
지난 번부터는 중국의 말에 관한 동화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중국은 말과 함께 한 역사가 한국에 비해 길고 게다가 생활에서 필수적인 동물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인지 말에 관한 이야기 또한 풍성하며 재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5일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204)
범 무서운 줄 모르고 덤빈 하룻강아지에게 목숨을 부지하려고 아등바등하는 자신이 갑자기 부끄럽게 느껴졌다. 창고 문을 열지 못하게 받쳐놓은 곡괭이와 손에 쥔 야구 방망이까지 여차하면 휘두를 수 있는 무기..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5일
[인생상담론]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1)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의 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25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3)
이번 호부터는 중국의 말에 관한 동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중국은 말과 함께 한 역사가 한국에 비해 길고 게다가 생활에서 필수적인 동물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인지 말에 관한 이야기 또한 풍성하며 재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고깔을 쓴다(203)
이미 그들은 자신의 영토에 허락 없이 들어온 침입자로 간주하고 더욱 맹렬하게 이빨을 드러내고 있었다. 은영이가 쥐어준 야구방망이로 덩치가 황소만한 두 마리 도사견을 내쫒거나, 때려잡는다는 것은 거의 기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풍수연재(210)-풍수 연재를 마치면서…
필자의 풍수여정 중 경북 동부신문사와 함께한 6년이란 기간은 풍수 학인으로서 큰 행운이었다. 2015년 1월에 첫 회를 시작하였고 마지막이 2021년 1월이니 정확하게 6년이란 기간이 흘렀으며 회수로는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13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2)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고깔을 쓴다(202)
낚싯배 선주가 포구에서 마중 나와 있었다. 우리가 싣고 간 생필품을 옮겨 담으며 걸걸한 목소리로 농담까지 곁들였다. “두 분의 꿈이 야물딱집니다 그려. 갈 때는 두 사람, 올 때는 세 사람이 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풍수연재(209)-천기(天氣)와 지기(地氣)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공간에는 기(氣)로 가득 채워져 있다. 이러한 기의 발생은 하늘에서 만들어지는 천기와 땅에서 발생하는 지기가 있다. 풍수에서는 이러한 기운들을 잘 다스려 생전에는 인간생활에 건강한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1년 01월 06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1)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고깔을 쓴다(201)
삼국시대에 제주도에 있던 탐라국에서 오직 탐난다는 마음을 담은, 탐나국으로 은영의 섬 이름이 최종 낙착되었다. 첫 관문의 난제가 풀리자 왠지 신바람이 났다. ‘일상으로의 초대’ 노랫말이 흥얼거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풍수연재(208)-청송의 만석꾼 심 부자
조선시대 중 후반 청송의 심부자댁은 ‘富不三代’란 우리나라 속담을 비웃기라도 하듯 9대 250여 년 동안이나 만석의 부를 누렸고 마지막 일제강점기에는 2만석에 가까운 수확으로 재산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23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100)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고깔을 쓴다(200)
은영은 내 앞에서 옷을 벗었고 옷을 입었다. 그 스스럼없음이 이불속에 있는 내게 아늑함으로 다가왔다. 그만큼 서로를 의식하지 않는 거리감이 한사람에 대한 분명한 신뢰로 자리매김 되었다. 편해진 따뜻한 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풍수연재(207)-청송 심부자와 송소고택
청송의 심부자는 15세기 초 심원부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전한다.현재 송소고택을 지키고 있는 종손 심재오씨에 따르면 원래 청송 덕천리에 터를 잡았으나 부를 이룬 심처대가 분가하면서 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16일
풍수연재(206)-안동 하회마을
안동의 하회마을은 물이 마을을 휘감아 돈다고 하여 하회(河回)마을이라 불렀다. 강 건너 부용대에 올라보면 마을 전체를 조망할 수가 있는데, 물길은 S字 모양의 태극문양과 같고 풍수형국으론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고깔을 쓴다(199)
은영은 ‘작은 찻집’으로 돌아왔다. 꿈꾼 세상을 모두 펼쳐 보여 준 뒤 그녀는 부쩍 말이 없어졌다. 나도 말없이 기다려주었다. 왠지 그래야만 될 것 같았다. 찻집은 문을 열지 않았다. 셔터가 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메이칭의 말(馬) 이야기(98)
한국의 미술품 속 말(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림, 조각, 벽화 속에 존재하는 말의 모습에 함께 하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 말은 사람들과 오랫동안 함께 했던 동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안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2월 02일
풍수연재(205) - 경주 양동마을
최근 많은 시민들이 풍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6년 1월부터 우리 향토출신 풍수지리 전문가 양삼열(楊三烈)교수의 글을 연재한다. 이 글을 통해 올바로 정립된 풍수학문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0년 11월 26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칼럼] 선출직 공직자들이 알아야 하는 것을 다시 상기시킨다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데스크칼럼] 잠시 멈춰서는 트럼프 관세, 그 다음은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에도 공무원 사칭 ‘노쇼 사기’ 빈번
영천시, 한방신활력플러스센터 개관···'한방에 놀자' 주제 플리마켓 진행
[사설] 청제비 국보 지정에 붙여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94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감나무
영양지(70)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
[풍수연재] 원균 장군의 묘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대선 이후, 실망과 기대 사이 영천의 선택은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