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1:18:29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4-30 오후 03:35:45
출력 :
10개
20개
30개
[담나누미칼럼] 백학서원(백학서당)과 금계 황준량
내가 백학서원(서당)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알게 된 것은 1997년이다. 당시 영천에 살고 있는 안동권씨 문중에서 문집을 우리말로 푸는 작업을 하게 되어 내가 그 일을 맡으면서부터다. 권응도(權應道..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24일
[사설] 창간 20주년 맞은 경북동부신문
2003년 <경북동부신문> 창간과 2015년 인수와 함께한 재창간은 시민들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열정과 지지로 이뤄졌다. 이제 창간 20돌을 맞은 지금 경북동부신문은 그 세월만큼 든든하게 뿌리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24일
[오피니언] 내 아들들의 미래 (3)
마찬가지로 X세대 중 아파트를 장만하지 못한 다수는 급격한 부의 추락을 경험하며 또 그냥 그런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란 뜻이다. 대한민국에서 이제 공부와 돈으로 무엇을 해 볼 수단은 없어졌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24일
[풍수연재 ] 의안대군 이방석의 묘
최근 많은 시민들이 풍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6년 1월부터 2020년 말까지 약 5년간에 걸쳐 “재미있는 풍수이야기”를 연재 하였는바 독자들의 재요청에 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24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금 고통과 시련에 빠져 번민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의 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24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10
74. 聞閒用上韻懷草史(문한용상운회초사) 시를 듣고 초사가 생각나서 山聾水啞月明時(산롱수아월명시) 散步從容1)不覺遲(산보종용불각지)&n..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오피니언]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명석(名釋) 목암선사(牧庵禪師) 청허 휴정선사의 5세 법손(法孫). 이름은 선정. 나이 15세에 함우 의영선사를 스승으로 삼아 득도(得度)102)하고, 뒤에 수교(修敎) 입선(入禪)하여 일생을 정(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사설 ]한약축제 성공으로 이끌어야
오는 19일부터 제21회 영천한약축제가 한의마을 일원에서 21일까지 열린다. 모든 지자체가 앞다투어 여는 축제가 그렇지만 봄, 가을에 많이 몰려 있다. 따라서 다른 지자체보다 앞서가기 위해서는 작은 것..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오피니언] 내 아들들의 미래 (2)
가장 엄중한 사실은 외면한 채, 무지인 채로 ‘묻지마 공부’에 달려들고 있다. 저 죽을지 모르고 불구덩이로 달려드는 꼴이다. 근데 이러면 부모인 저만 죽나 자녀도 같이 죽는다. 결국 비극이다. 거개가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풍수연재 ] 전계대원군의 묘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산 11번지에 가면 이조 말 철종의 생부인 전계대원군의 묘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원군이라면 누구나 흥선대원군을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대원군이란 호칭은 왕이 된 아들의 아버지를 높여..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정말로 스스로 복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입니까? 그 복도 이미 운명적으로 타고 난 것이 아닐까요? 인도의 파사닉왕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선광공주라고 하는 아름다운 딸이 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7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09
며칠 전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을 찾았다. 연혁을 보니 2002년 안동독립운동기념사업회가 발기되고 나서 2007년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이 개관되었으며, 이 안동독립기념관이 2017년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으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증직(贈職) 한국주(韓國柱) 청주인. 공조참의 자량의 뒤. 숙종조 예조참의로 추증. 가선산성에 곡식을 돌려 줄 때 고을이 그 폐해를 입자, 아홉 번이나 대궐에 호소하여 이에 임금께서 들으시고 영원히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사설 ]지속가능한 청년정책개발에 힘 모아야
우리 지역을 포함한 농촌의 고령화, 지방소멸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구는 10만 조금 넘는 수준에서 오락가락하고 65세 이상의 비율이 31%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의 핵심자원이라 할 수 있..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오피니언 ] 내 아들들의 미래 (1)
나에게는 기적과도 같은 두 아들이 있는데, 큰아들 라온이는 특이하게도 걸음마를 시작할 때부터 여느 아이들과는 달리 공원의 놀이기구보다 할아버지 할머니들 즐기는 운동기구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연재소설 ] 고깔을 쓴다
육교(7) 난간을 잡고 간신히 버티고 있는 여자에게 모든 시선과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육교로 올라가 손을 잡아줄 시간도 빠듯했고 무엇보다 건장한 체구의 젊은 사람도 하필 그날따라 보이지 않았습..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풍수연재 ] 흥선대원군의 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가면 이조 말 정권의 실세 흥선대원군의 묘소가 있다. 이 묘는 원래 1898년에 경기도 고양시에 있었으나 1906년 고종의 황명으로 경기도 파주시 운천면 대덕리로 옮겼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오피니언]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복의 과보는 그 사람 자신이 심은 인(因)에 의해 좌우되며, 복이 없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복을 조금이라도 심어 놓으면 반드시 거두어 들일 날이 옵니다. 결코 조금도 헛되이 없어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10일
[기 고]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108
72. 秋夜逢金兄草史1)(추야봉김형초사) 가을 밤에 김형 초사를 만나다 風凉露白月明時(풍량노백월명시) 邂逅相逢就睡遲(해후상봉취수지)&nb..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증직(贈職) 전희상(全希祥) 낙암 언의 아들. 손자인 삼달의 귀함으로 형조참의오 추증됨 이석필(李碩弼) 성주인. 주부 돈례의 아들. 호는 징산. 예원의보로 추증 전몽룡(全夢龍) 참의로 추증된 희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3년 05월 03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종이 신문을 만든다는 것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데스크칼럼] 사람의 인성이나 성품에 관하여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장애인의 날 기념식 및 체육대회
최무선의 꿈을 잇다, 2025 최무선과학꿈잔치
쿠잉베리&채널경북, 영천희망원 딸기농장 체험
최무선 장군 탄신 700주년 기념추모제
[사설]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88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동회
영양지(64)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