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5-02 05:12:40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4-30 오후 03:35:45
출력 :
10개
20개
30개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 손두남(孫斗南) 통정대부 덕호의 뒤. 3세에 아버지 돌아가시어 어려서부터 어머니 모심에 효성이 지극하였다. 7세에 외삼촌인 서봉래에게서 배웠는데 봉래가 외출하여 일찍이 소매 속에다 대추를 넣고..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13일
공약은 시민과 맺은 고용계약서와 같다
최기문 영천시장의 민선8기 공약사업으로 4대분야 34개 공약사업이 지난 4일 확정되고 주민과의 약속인 사업들을 임기내 추진하는 일만 남았다. 분야별 공약을 보면 생동하는 경제도시 14건, 찾아오는 부자농..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13일
코로나 코로나
첫째가 복합바이러스(*)로 입원한 지 3일 만에 아내가 코로나에 확진됐다. 아내는 격리 일주일 중 사흘을 심한 통증으로 고생했다. 아이들을 김천으로 옮기고 대전을 오가며 아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13일
메이칭의 중국 이미지(174)
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윈난성[雲南省]에 96%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13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죄송합니다. 사실 저는 비누를 만들어 본 일이 있습니다. 그냥 이렇게 하면 된다고 하였기에… 어떻게든 일자리를 구해 보려고 했던 것이 그만 이런 실수를 하고 말았습니다.” 최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13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82
2022년 9월 18일, 대한민국의 종편 방송인 JTBC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제 강점기와 관련하여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졸업을 위해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핵심 교육과목에 존재하는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이시복(李時復) 헌납 사징의 뒤. 호는 신재. 어려서부터 성품이 지극하여 양친에 부지런하였다. 동지들과 같이 산방(山房)에서 독서하는데 소학(小學)의 문왕이 하루 세 번 문안하였다는 장구에 이르러..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천정부지 물가, 서민 고통 깊어진다
세계 주요 강대국들의 고강도 긴축 움직임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자 실물경기지표는 물론, 경제심리가 전체적으로 무너지고 있다. 원재료 가격 급등에 이윤은 줄고 고금리에 돈줄이 막히면서 불안해진 기업들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메이칭의 중국 이미지(173)
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주로 윈난성[雲南省]에 거주하는 아창족(阿..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많은 세상입니다. 무시겁래 지어온 악업들이 한꺼번에 쏟아지듯 캄캄한 세상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밤이 지나야 새벽이 오고 햇살이 퍼지듯이 시름의 꺼풀이 벗겨지면 반드시 화사한 날이 돌아올 것이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곡강(흥해)최씨 시조 최호(崔湖)의 묘
최근 많은 시민들이 풍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2016년 1월부터 2020년 말까지 약 5년간에 걸쳐 “재미있는 풍수이야기”를 연재 하였는바 독자들의 재요청에 의하여 이번 주..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0월 05일
[담나누미칼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 이종로(李宗老)첨지 여초의 아들. 벼 슬은 도사. 천성으로 효성이 지극하 여 아버지가 이질(痢疾)이 있어 백약 (百藥)이 무효라. 하늘에다 자신으로 대신해 달라 기도를 하였다. 꿈에 한 노인이..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30일
[社 說] 실외 ‘노마스크’ 풀려도 건강은 스스로 챙겨야
지난 26일부터 실외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 해제됐다. 이로써 가을 행사가 열리는 축제장이나 야외 콘서트 장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정부는 지난 23일 “코로나19 재유행 고비를 확연히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30일
[연재소설] 고깔을 쓴다
산 자와 죽이려는 자(10) 조남철은 상황 판단이 빨랐다. 아 킬레스건이 잘라져 형편없는 자신의 몰골을 대충 파악한 후 비루먹은 강 아지처럼 비실비실 거렸다. 서슬퍼 른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21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79
30. 偸閒1) 투한(잠시 짬이 나서)數間茅屋依靑岑(수간모옥의청잠)門對 楡2)萬樹林(문대분유만수림)穉子學詩傳古語(치자학시전고어)佳娥拾翠3)聽琴心4)(가아습취청금심)休論世事多輕重(휴론세사..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08일
[社 說] 모두를 위해 긴축 재정이 필요한 시기다
영천시가 지난달 28일 2022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해 영천시의회에 제출했고, 의회는 제 225회 정례회를 열고 곧바로 각 상임위별 예비심사 와 예결위의 종합심사에 돌입했다.이번 추경예산안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08일
[심보통의 보통글밥] 과락 편지
전 소설가셨던 내 아버지는 뜬 금없는 글 부탁을 질색하셨다. 또 작 가로서 창작물을 나누는 것에 대단 히 신중하여 더러 옹색하다는 느낌 을 줄 때도 있었다. 글 부탁에 질색한 일로는 김천전신전화국(현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9월 08일
기후위기와 환경문제, 이대로면 정말 심각하다
지난번에 한번 폭염과 열대야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 곧이어 한반도 곳곳에 무차별적으로 들이닥친 집 중호우는 물폭탄이라는 표현대로 많은 것을 앗아갔다. 그때도 이야기 했지만 이 모든 치명적 자연재해의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8월 31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77
2022년 8월15일 제77주년 광복절을 맞아 모두 303 분의 독립유공자에게 포상이 주어졌는데,그 가운데 산남의진 참진 의사 네 분이 서훈을 받았다는 소식이 다. 박동림 의사는 애국장, 김연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8월 18일
[담나누미칼럼]익양지 제5권 - 인물(人物)
음직(蔭職)신치관(辛致寬)문희공 석조의 뒤. 현종 신해 무과. 벼슬은 영장. 일찍이 금 직전무에 실화(失火)로 불이 나 뜨거 운 열기가 하늘까지 넘쳐나 사람들 이 감히 가까이 가지 못했다. (이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08월 18일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종이 신문을 만든다는 것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데스크칼럼] 사람의 인성이나 성품에 관하여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장애인의 날 기념식 및 체육대회
최무선의 꿈을 잇다, 2025 최무선과학꿈잔치
쿠잉베리&채널경북, 영천희망원 딸기농장 체험
최무선 장군 탄신 700주년 기념추모제
[사설]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철저한 관리감독 필요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188
[조은경 주부의 귀촌일기] 동회
영양지(64)
마음의 밭을 가는 농부에게
[데스크칼럼] 심각한 분열 극복하고 정상의 길 찾아야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