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 2025-08-22 08:13:34
회원가입
전체기사보기
원격
뉴스
오피니언
TV 다시 보기
커뮤니티
PDF 지면보기
종합
사회
정치·경제
종교
문화
명예기자
동창회
특집
이 사람
칼럼일반
데스크 칼럼
연재·소설
건강칼럼
사설
경북의창
행사중계
문화·예술
현장리포트
열린초대석
기획·특집
TV여행
인사
동정
결혼
부음
칼럼일반
칼럼일반
최종편집 : 2025-08-21 오후 05:58:51
출력 :
10개
20개
30개
일꾼과 방송(1)
“아들, 이번 <산남의진뎐>은 아주 좋더라. 우리 아들 최고. 열심히 해.” 어제 낮, 내 모든 글의 제1독자 어머니께서 오랜만에 아주 기분 좋은 평을 내주셨다. <산남의진뎐>은 그제 원..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30일
메이칭의 중국 이미지(180)
《中国统计年鉴-2021》의 자료에 따르면 124,092명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소수민족이며 대부분 농업에 종사한다. 옥수수, 호박, 고구마, 잡곡 외에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30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응, 그 언덕에는 얼마전까지 헛간으로 쓰였던 꽤 큰 건물이 있었다네. 매우 견고한 건물이었는데 건물 주인이 떠나고 얼마지나지 않아 허물어지고 말았다네. 아무도 돌보지 않았기 때문..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30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88
42. 寒食日偶吟(한식일우음) 한식날에 문득 짓다 金陵城外鶴山東(금릉성외학산동) 春氣迷茫1)一望通(춘기미망일망통) 夜色漸生千樹雨(야색점생천수우) 輕香時送百花風(..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23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 정동빈(鄭東彬) 노모를 봉양함에 정성과 효도를 극진히 다하였다. 어머니가 설사와 이질로 바야흐로 살아있는 물고기를 구하는데 마침 한 겨울인데 가물치가 저절로 맑은 물도랑에서 나왔고, 또 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23일
‘고향사랑 기부제’ 제대로 시작해야 한다
최근 각종 언론 보도나 광고를 보면 다소 낯선 현상을 볼 수 있다. “고향에 기부해 주세요”라는 문구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알리는 내용이다. 고향사랑 기부금법 시행이 내년 ..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23일
책의 미래
올 4월부터 10월까지는 뒤돌아볼 틈 없는 알찬 시간을 보냈다. [보통 글밥2]와 [히데타다와 신문왕 이야기] 교정을 6개월 동안 보았고, 동시에 [산남의진뎐]과 [아빠가 아이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경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23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남편이 직장에서 열심히 일해서 월급을 갖다줬는데 아내가 놀음하고 투기를 하러 다닌다면 그 재산은 결코 지켜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화재와 수재에 의해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노력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23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87
그 날을 기억하며 - 학생부 운문 우수상 (경산 문명고 이주헌) 바람 한 줌에도 흔들리던 위태로운 국가의 운명에 새로이 희망의 기둥을 세워주신 산남의진 의병들이시어 영..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 서성보(徐聖輔) 서동보(徐東輔) 파재 유관의 아들. 천성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형제가 같이 살면서 편친(偏親)을 봉양하였다. 여름이 뜨거우면 반드시 부채를 교체하고 겨울에 추우면 역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코로나19 7차 유행 우려, 믿을 건 백신과 개인방역수칙 준수뿐
코로나19 7차 유행의 전조가 턱밑까지 차올랐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을 넘겼다. 한동안 주춤하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증가세로 보이면서 겨울철 재유행 가능성도 아주 높..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산남의진뎐
이번 주 목요일이면 11번째 책이 나온다. 『산남의진뎐』. 이 책은 구한말 경상도 동해안 접경 지역에서 활동한 2000여 ‘산남의진’에 관한 것으로, ‘기억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썼다. 부제는 ‘조선의..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메이칭의 중국 이미지(178)
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윈난성[雲南省] 서남부에 거주하는 부랑족(..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남들보다 더 행복해지고 싶어서 어렵게 공부하여 대학에 들어갔는데 결국은 취업의 문을 통과하기 위해 대학인으로서 닦아야할 학문적인 연구보다 요령있게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공부만 한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16일
산남의진역사(山南義陣歷史) 86
의병이라는 이름으로 - 정은주(일반부 우수) 1. 낡은 문풍지위로 나뭇가지 우수수 몸을 떠는 새벽녘 밤늦도록 잠 못 이루던 아내와 생때같은 어린 자식 얼굴 뒤로 일어선 장..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익양지 제6권 - 인물(人物)
효(孝) 이동룡(李東龍) 쌍계 영근의 뒤. 호는 송재. 평소 문행(文行)이 있다. 어버이 모심에 효성이 지극하여 초상을 만나 여묘살이를 하였으며 애훼(哀毁)가 예법을 넘었다 박이검(朴爾儉) 밀..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불법 만연한 거리 환경 개선해야 된다
영천의 시내 거리를 다녀보면 어디서든 불법 적치물을 어렵지 않게 만나게 된다. 특히 전통시장 주변에는 오랜 기간 동안 도로를 무단 점용한 불법 적치물로 도시미관에 걸림돌이 되고 불법적인 상행위와 무질서..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외로움부
시카고대학의 카시오포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현대인의 가장 총체적인 사망 요인은 사고나 암(癌)이 아니라 외로움이다. 외로움은 ‘고독사’로 대변될 만큼 우리 사회에서도 인구감소 초고령화 빈부격차..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메이칭의 중국 이미지(177)
최근에 내 중국 이야기는 중국 문화 중, 중국의 다양한 민족 문화에 대한 이야기이다. 중국에는 90% 이상의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감숙성에 대부분 거주하는 보안족(保安族)을..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꿈에서 깨어나 눈 뜬 삶을 살자
(지난호에 이어) 우리 평범한 사람들의 상식으로는 생각하기 어려운 일입니다. 죽은 후에도 장기기증만은 않겠다는 사람이 많은데 살아있는 동안에 그것도 눈을 하나 빼주었다는 것은 감히 상상하기도 어려..
경북동부 관리자 기자 : 2022년 11월 02일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동정]-야구대회 참가선수들 격려
영천시 7월1일자 인사
영천시 인사(4월20일자)
영천시 인사(2017년 4월 1일자)
이 사람-경북작가상 수상자 한관식 영천문협지부장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동정]-백신애문학제 참석
(결 혼)
(결 혼)
(결 혼)
동정
[동정]-수능 마친 학생들 격려
[동정]-화재대피 민방위훈련 참여
[동정]-한방김장김치 담그기 체험행사 참석
[동정]-교통장애인협회 시민결의대회서 축사
이 사람
데스크 칼럼
[데스크 칼럼] 갑질, 모두의 각성으로 사라지게 해야
[데스크 칼럼] 새옷 예쁘고 좋지요
[데스크칼럼] 경제 초보라도 이것만은 알아야
가장 많이 본 뉴스
영천시, 2025년 경찰청장기 전국단체대항태권도대회 개최
영천시, 건강한 육아를 위한 ‘우리아이 튼튼 프로젝트’ 운영
새마을문고 영천시지부, 찾아가는 피서지 문고 운영
전국영천시향우연합회, 제14차 정기총회 및 회장 이취임식
최상식 전국영천시향우연합회장 취임
호국의 도시 영천, 육군사관학교 유치에 불 지핀다
영천시, 2025 을지연습 실제훈련···최무선과학관
2025년 민선8기 영천시 공약이행 평가단 회의
[사설] 폭발사고를 계기로 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고] 산남의진열전(山南義陣列傳) 201
회사소개
구독신청
광고문의
제휴문의
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청소년보호정책
찾아오시는 길